한국형 사회적 정서 유발 시각 자극 개발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aims to develop Korean Social Affective Visual Stimuli (K-SAVS) to arouse social affect. Methods: K-SAVS is composed of pictures of social situations among East Asians. Each picture contains a negative, positive, or neutral affect. Positive and negative stimuli were pr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umyŏn--chŏngsin saengni Vol. 25; no. 1; pp. 21 - 26
Main Author 석범준(Bum Joon Seok), 김남범(Nambeom Kim), 민경하(Kyung Ha Min), 박도현(Dohyun Park), 김석주(Seog Ju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수면의학회 30.06.2018
The Korean Academy of Sleep Medicine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7354
2713-8631
DOI10.14401/KASMED.2018.25.1.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Objectives: The current study aims to develop Korean Social Affective Visual Stimuli (K-SAVS) to arouse social affect. Methods: K-SAVS is composed of pictures of social situations among East Asians. Each picture contains a negative, positive, or neutral affect. Positive and negative stimuli were presented to one group of subjects. Negative and neutral stimuli were presented to another group of subjects. All subjects were required to fill out Affective Valence and Arousal Manikin. Results: In the initial test, 18 positive affective stimuli pictures (1 set) and 36 negative affective stimuli pictures (2 sets) were chosen from 95 stimuli pictures. Positive affective stimuli pictures showed higher valence (p < 0.001) and lower arousal (p < 0.001) than negative affective stimuli pictures. In the confirmatory test, 18 neutral stimuli pictures (1 set) were additionally selected out of the total of 79 pictures of neutral stimuli pictures and the pictures used in the former experiment. Neutral stimuli pictures showed higher valence (p < 0.001) and lower arousal (p < 0.001) than negative affective stimuli pictures. Conclusion: K-SAVS can be a valid and useful tool for inducing specific social affects of Koreans.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게 적합한 사회적 정서를 유발하는 자극(한국형 사회적 정서 유발 시각 자극, Korean Social Affective Visual Stimuli, K-SAVS)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 법 : K-SAVS는 극동 아시아인이 등장하는 사회적 상황의 사진들로 구성되었다. 각 사진은 부정적 정서 자극, 긍정적 정서 자극, 혹은 중립 자극으로 구성하였다. 24명의 피험자에게 긍정적 자극과 부정적 자극을 보여주고 정서가 및 각성수준에 대한 자가 평가 마네킹 척도를 작성하게 한 후, 다른 24명의 피험자들에게 부정적 자극과 중립 자극을 보여주고 같은 척도를 작성하게 하였다. 결 과 : 1차 실험에서 95개의 자극 사진 중 긍정적 정서자극 사진 1개 세트, 부정적 정서 자극 사진 2개 세트를 선정하였다. 각 세트는 18개의 사진으로 이루어졌다. 긍정적 정서 자극은 부정적 정사 자극 사진에 비해 호감도는 높았으며 (p < 0.001) 흥분도는 낮았다(p < 0.001). 2차 실험에서는 1차 선정된 사진들과 중립 자극 사진을 포함하여 79개의 사진 중 중립 자극 사진 1개 세트를 선정하였다. 중립 자극은 호감도는 높았으며(p < 0.001) 흥분도는 낮았다(p < 0.001). 결 론 : K-SAVS는 한국인에게 특정한 사회적 정서를 유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각 자극이라 할 수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820540193617
ISSN:1225-7354
2713-8631
DOI:10.14401/KASMED.2018.25.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