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문화매개자로서 1인 미디어, 유튜브 채널 〈영국남자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meaning of personal media as cultural intermediaries in the cultural diffusion, acceptance, and intermediation for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e examined the case of personal media, <Korean Englishman>, which is one of popular YouTube ch...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6) Vol. 18; no. 6; pp. 50 - 62
Main Authors 김정현(Junghyun Kim), 김보영(Bo-You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8.18.06.05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meaning of personal media as cultural intermediaries in the cultural diffusion, acceptance, and intermediation for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We examined the case of personal media, <Korean Englishman>, which is one of popular YouTube channel in Korea and analyzed fifty most viewed videos in last two years based on four perspectives of digital cultural intermediaries: forms, expression methods, linguistic features, and evaluations. As expected, results demonstrate that <Korean Englishman> shows characteristics of digital intermediary: diverse subjects without fixed rules, a variety of multimedia effects, colloquial style including neologism and multilingual, and users' high preferences caused by creator's sincerity. Our findings and limitations can serve directions of further empirical researches. 문화콘텐츠 생산과 소비 환경의 변화에 따라 문화의 전파와 수용, 그리고 매개의 측면에서 1인 미디어가 가지는 디지털 문화매개자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인기 있는 유튜브 채널 <영국남자(Korean Englishman)>를 디지털 문화매개자의 특성 요인('문화매개 형식', '문화매개 전달방식', '문화매개 언어특징', 문화매개 평가기준')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2년 동안의 누적 조회수 기준으로 해당 채널의 상위 50개 동영상의 소개글, 내용, 콘텐츠 이용자들의 댓글을 분석한 결과, 자유로운 주제와 적절한 표현방식(문화매개 형식), 다양한 효과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형태의 전달(문화매개 전달방식), 일상적 언어와 인터넷 용어 및 다국어 이용(문화매개 언어특징), 진정성 있는 콘텐츠 및 콘텐츠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인기 및 선호 증대(문화매개 평가기준)를 통해서 디지털 문화매개자로서의 1인 미디어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820159116001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8.18.06.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