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참여활동이 고령자 인지기능 손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 간 차이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types on cognitive impairment degree(normal, mild, severe cognitive function) by urban and rural difference.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data of elderly 5,668 over 55 years of age fr...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0) Vol. 20; no. 10; pp. 326 - 337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0.20.10.326 |
Cover
Loading…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types on cognitive impairment degree(normal, mild, severe cognitive function) by urban and rural difference.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data of elderly 5,668 over 55 years of age from the sixth wave(2016) and the seventh wave(2018)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Results show that social participation reduces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on both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regardless of types, but the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which are effective to reduce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re differ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which are effective to decline the risk of being mild or severe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risk of being severe cognitive impairment relative to mild, are differ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prevent cognitive impairment and reduce the severity, social participation is strongly recommended and appropriate supports are required. This implies policy and intervention efforts considering the urban and rural difference are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고령자와 농촌 고령자의 사회참여활동 유형이 인지기능 손상 정도(정상, 경증 인지기능저하, 중증 치매 의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6차(2016년)와 7차(2018년)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 데이터 중 55세 이상 고령자 5,66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어떤 유형이든지 사회참여활동 하는 것이 인지기능 장애 위험을 줄여준다는 것은 도시와 농촌 둘 다 일관되게 유의하였으나, 도움이 되는 사회참여활동 유형이 도시와 농촌 간 차이가 있었다. 즉, 도시와 농촌에 사는지에 따라 정상군에서 인지기능저하 또는 치매 의심이 될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사회참여 활동 유형과 인지기능저하에서 치매 의심이 될 위험을 낮추는 데 유의한 유형이 달랐다. 따라서 인지기능 장애를 예방하고 치매 중증도를 완화하는 데 사회참여활동을 적극적으로 권장돼야 하며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시와 농촌의 차이를 고려한 정책과 개입이 요구됨을 함의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031458603922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0.20.1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