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D 카메라 모델을 이용한 플렌옵틱 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This paper presents a convenient method to estimate the internal parameters of plenoptic camera using CCD(charge-coupled device) camera model. The images used for plenoptic camera calibration generally use the checkerboard pattern used in CCD camera calibration. Based on the CCD camera model, the d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2; no. 2; pp. 261 - 269
Main Authors 김송란(Song-Ran Kim), 정민창(Min-Chang Jeong), 강현수(Hyun-Soo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18.22.2.26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paper presents a convenient method to estimate the internal parameters of plenoptic camera using CCD(charge-coupled device) camera model. The images used for plenoptic camera calibration generally use the checkerboard pattern used in CCD camera calibration. Based on the CCD camera model, the determinant of the plenoptic camera model can be deriv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plenoptic camera model. We formulate four equations that express the focal length, the principal point, the baseline, and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camera and the object. By performing a nonlinear optimization technique, we solve the equations to estimate the parameters. We compare the estimation results with the actual parameters and evaluate the reprojection erro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SE(mean square error) is 0.309 and estimation values are very close to actual values. 본 논문은 플렌옵틱 영상에 CCD 카메라 모델을 적용하여 플렌옵틱 카메라의 내부 파라미터를 구하는 편리한 방법을 제안한다. 플렌옵틱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되는 영상은 일반적으로 CCD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에서 사용하는 체크보드패턴을 사용한다. CCD 카메라 모델에 기반 하여 플렌옵틱 카메라 모델의 행렬식을 구하고 이를 통해 초점거리, 주점, 베이스라인, 가상카메라와 물체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4가지 방정식을 공식화한다. 그리고 비선형 최적화 기법을 수행하여 방정식의 해를 찾는다. 구해진 추정치는 실제 매개 변수와 비교하고 구해진 파라미터를 이용해 재 투영 오차율을 구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을 통해 구한 매개 변수는 실제와 매우 유사한 값을 가지며 재투영 오차율은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나타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810256452765
http://jkiice.org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18.22.2.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