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전환된 참깨 발효물의 Lignan 화합물의 분석법 검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thod validation for determination of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in non-fermented sesame and fermented sesame by bioconversion. For validation, the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of sesam...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6; no. 5; pp. 646 - 652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Loading…
Summary: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thod validation for determination of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in non-fermented sesame and fermented sesame by bioconversion. For validation, the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of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were measured by HPLC. Linearity tests showed that the coefficients of calibration correlation ($R^2$) for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were 0.9999. Recovery rates of lignan contents in non-fermented and fermented sesame were high in the ranges of 100.27~115.10% and 98.43~114.90%, respectively. The inter-day and intra-day precisions of sesamin and sesamolin analyses for non-fermented and fermented sesame were 0.27~1.94% and 0.25~0.69%, respectively. The LOD and LOQ were $0.23{\sim}0.34{\mu}g/g$ and $0.70{\sim}1.03{\mu}g/g$,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alidated method is appropriate for the determination of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본 연구에서는 HPLC를 이용하여 생물전환된 참깨의 lignan 화합물 분석법 검증을 시행하였다. 분석법 검증 결과 표준용액 sesamol, sesamin, sesamolin과 참깨 비발효물 및 발효물의 머무름 시간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spectrum 분석 결과 동일한 spectrum을 나타내어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직선성의 경우 sesamol, sesamin 및 sesamolin의 검량선은 모두 0.9999로 1에 가까운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참깨 비발효물의 lignan 함량 측정 결과, intra-day에서 2.67 mg/g 및 inter-day에서 2.42 mg/g으로 나타났으며, sesamolin은 intra-day에서 3.77 mg/g 및 inter-day에서 3.37 mg/g을 나타내었다. 참깨 발효물의 sesamin 함량은 intra, inter-day에서 각각 2.97 mg/g, 2.75 mg/g을 보였으며, sesamolin은 intra-day 4.23 mg/g, inter-day 3.92 mg/g으로 나타났다. 일내 정밀도에서 참깨 비발효물의 경우 0.25~0.43%로 나타났으며 참깨 발효물은 0.47~0.69%를 나타냈다. 일간 정밀도에서 참깨 비발효물은 RSD 0.27~0.64%의 정밀도를 보였으며 참깨 발효물은 1.34~1.94%의 정밀도를 나타내어 모두 RSD 5% 이하의 우수한 정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esamol은 98.43~110.72%, sesamin은 106.45~115.10%, sesamolin은 99.18~112.05%의 범위의 우수한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검출한계는 sesamol $0.34{\mu}g/g$, sesamin $0.26{\mu}g/g$, sesamolin $0.23{\mu}g/g$으로 나타났으며, 정량한계는 각각 $1.03{\mu}g/g$, $0.78{\mu}g/g$, $0.70{\mu}g/g$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지표성분 sesamol, sesamin 및 sesamolin의 분석방법이 적합한 분석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18555880668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