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4학년 교과서의 추측하기 과제 분석: 사각형의 정의와 성질을 중심으로
This study analyzes on conjecturing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We adopted Peircean semiotic perspective and variation theory to analyze conjecturing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We specifically analyzed mathematical tasks designed to support students' inquiries into...
Saved in:
Published in | Suhak gyoyukak yeon-gu (Online) Vol. 27; no. 3; pp. 491 - 510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1.08.2017
대한수학교육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7733 2288-8357 |
Cover
Loading…
Summary: | This study analyzes on conjecturing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We adopted Peircean semiotic perspective and variation theory to analyze conjecturing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We specifically analyzed mathematical tasks designed to support students' inquiries into definitions and properties of quardrilaterals. As a result, we found that conjecturing tasks in textbooks do not focus on supporting students' diagrammatic reasoning and inductive verification on provisional abductions. These tasks were mainly designed to support students' conjecturing on commonalities of mathematical objects rather than differences between objects.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4학년 교과서의 사각형의 정의와 성질에 대한 내용에서 다루어지는 수학 과제들을 각각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교과서에서 어떠한 과제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추측하기 활동을 촉진하고자 시도하고 있으며, 이 과제들이 학생들로 하여금 추측을 제기하고 이에 대해 탐구하도록 하는 데 적절한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교과서에서 제공하고 있는 추측하기 과제의 유형이나 형태가 다소 상이하였으나, 공통적으로 학생들의 다이어그램적 추론을 충분히 촉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생들이 제기한 추측에 대한 귀납적 검증 기회도 적절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주어진 도형들의 공통점에 대해서 주로 추측하도록 하고 있었으며, 도형들 사이의 차이에 대해서는 비교적 주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25864505984 |
ISSN: | 2288-7733 2288-83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