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창업 관련 연구 동향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the start-up research in Korea. To accomplish this, meta-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ext mining methodology by dividing the entrepreneur-related master's and doctoral theses registered in RISS into the first term of entrepreneurship...
Saved in:
Published in | 벤처창업연구 Vol. 12; no. 5; pp. 1 - 1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12.5.201710.1 |
Cover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the start-up research in Korea. To accomplish this, meta-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ext mining methodology by dividing the entrepreneur-related master's and doctoral theses registered in RISS into the first term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by 2009 and the second term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from 2010.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from the three different analysis that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government policy and support are the subject of continuous research topics in the whole period and that the researches on small business start-ups have been studied continuously and conducted more in the second half. In addition, empirical analysis is strengthened in the latter stage of entrepreneurial research. The TF-IDF analysis reveals that many researches on veteran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and in the latter period, it was found that many studies related to the elderly were conducted with cultural contents and aging society. In addition, research on brand-related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and research on venture-related research,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motivation and start-up strategy have been conducted a lot and female entrepreneurship was also studied. In the latter period, we have emphasized entrepreneurial achievements and found that research on start-ups such as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start-up investment, and social enterprise diversified. This study is meaningful to apply the method which is becoming a recent issue such as text mining and topic analysis to the meta-analysis related to start-up.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be undertaken on a variety of more detailed topics related to entrepreneurship.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국내에서의 창업 관련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RISS에 등록되어 있는 창업 관련 석 박사 논문들 중 한글 초록이 제공되는 논문들을 2009년까지의 창업연구 전기(前期), 2010년부터의 창업연구 후기(後期)로 나누어 최빈 사용 빈도 분석, TF-IDF 분석 및 토픽 분석 등 3가지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메타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면 3가지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창업 교육 및 정부 정책이나 지원은 계속되는 연구주제이며, 및 소상공인 창업 등도 계속되는 연구 주제이나 창업 연구 후기에 더욱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또 창업 연구 후기에서는 실증 분석이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TF-IDF 분석에 의해 드러나는 것은 창업 연구 전기에는 퇴역군인 관련 연구도 많이 진행되었으며, 후기에는 문화콘텐츠 및 노령화 사회를 맞아 노년층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토픽 분석을 통해 추가 확인된 사항은 전 기간에 브랜드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창업 연구 전기에 벤처 관련 연구, 창업가 특성 및 창업 동기, 창업 전략 등 창업 준비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여성 창업도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후기에는 창업 성과를 중시하고 산학 협력, 창업 투자, 사회적 기업 등 창업 관련 연구가 다양화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창업 관련 메타 분석에 텍스트마이닝, 토픽 분석 등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방법을 적용해 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향후 창업 관련하여 더욱 세분화된 다양한 주제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33348352492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12.5.2017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