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혁신의 성공을 이끄는 혁신중개자의 역할과 기능
SMEs are being forced to continuously innovate their technologies for survival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industrial environment. In order to innovate technology or discover technology cooperation partners of SM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open innovation, centering on industry-acad...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5) Vol. 22; no. 5; pp. 235 - 24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5.235 |
Cover
Loading…
Summary: | SMEs are being forced to continuously innovate their technologies for survival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industrial environment. In order to innovate technology or discover technology cooperation partners of SM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open innovation, centering on industry-academia-research. However, SMEs need to use open innovation brokers due to their lack of access to external resources and difficulty in independent promotion, and accordingly, the role of open innovation brokers is important. Until now, performance factors and influencing factors have been studied mainly by technology providers in the field of technology transfer, and research on mediators is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and function of technology transfer intermediaries to explore the role of open innovation intermediaries and how they differ from existing technology transfer intermediaries. This role of open innovation intermediaries is of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deals with the role of intermediaries based on the results of government support projects, and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to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open innovation intermediaries. 중소기업은 외부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존을 위해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강요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이나 기술협력 파트너의 발굴을 위해서는 산학연을 중심으로 개방형 혁신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외부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독자적인 추진이 어려워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활용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기술이전 분야에서 기술공급자 중심으로 성과요인이나 영향 요인이 연구되었고 중재자에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 중개자의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여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과 기존 기술이전 중개자와 어떻게 다른지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을 정부지원사업의 수행 결과 토대로 중개자의 역할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미가 있고, 향후 개방형 혁신 중재자들에 관한 연구에 대한 토대가 되는 것이 학술적인 의미가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16855741546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5.2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