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자박 식이섬유를 이용한 유자과립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조사
In this study, solubilized yuzu pulp powder (EYP) was produced using enzyme treated yuzu pulp powder (YP) and used to manufacture yuzu granules (0-20% EYP content). The physicochemical, product stabi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Yuzu granules were compared among five enzyme treatments. Among th...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3; no. 4; pp. 382 - 390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과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In this study, solubilized yuzu pulp powder (EYP) was produced using enzyme treated yuzu pulp powder (YP) and used to manufacture yuzu granules (0-20% EYP content). The physicochemical, product stabi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Yuzu granules were compared among five enzyme treatments. Among the five treatments, CL had the highest YP solubilization yield (48.68%). Microstructural observation of EYP using FE-SEM revealed that its surface became irregular and porous after enzymatic treatment. Compared to YP, EYP had 2 times lower insoluble dietary fibers and 3 times lower hemicellulose and cellulose content. Among the yuzu granules, IV (yuzu granules with 15% EYP) had an excellent water and oil holding capacity and flowability. IV granule had the highest narirutin and hesperidin content of 3.4 mg and 2.2 mg/g DW, respectively and the highest antioxidant (68.4%)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82.5%). Therefore, EYP or granule with EYP can be used as a functional component in food industry or pharmaceutical field. 본 연구에서는 유자박분말(YP)에 효소처리하여 불용성 식이섬유를 수용성 식이섬유로 전환시키고, 효소처리한 유자박분말(EYP)을 이용하여 유자과립을 제조 후 이의 이화학적특성, 제형안정성과 기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유자박분말에 CL을 처리할 때 48.68%로 가장 우수한 가용화정도를 나타냈다. FE-SEM으로 YP와 EYP의 미세구조 관찰결과 효소처리 후 표면 불규칙하고 다공성이 됨을 확인하였다. YP에서 EYP로 변함에 따라 총 식이섬유의 함량은 비슷하지만 SDF는 1.5배 증가하였고, IDF는 2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DF/IDF는 3배 증가하였다. 식이섬유의 구성성분인 hemicellulose는 3배 감소하였고, cellulose는 2.5배 감소하였다. 유리당은 YP에서 galacturonic acid와 arabinose가 없었으나 효소처리 후 각각 1.64, 2.91 mg/g DW 생성되었다. 효소처리에 따라 설탕은 30% 감소하였으며, 포도당은 2배 증가함을 보였다. EYP를 이용하여 5가지 유자과립을 제조하였고, 이화학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유자과립의 pH는 3.25-3.28, 산도는 3.42-3.84%, 당도는 8.7-8.9°Brix를 나타냈다. 색도는 V의 황색이 21.57로 가장 높았으며, EYP의 함량에 비례해 황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제형안정성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15% EYP를 함유한 IV가 용해도를 제외한 수분보유력, 유지보유력, 팽윤력, 흐름성에서 각각 1.07, 2.36, 2.60 g/g, 20.09 Arctano으로 제형안정성이 우수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narirutin, naringin, hesperidin, neohesperidin을 측정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YP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여 IV (15% EYP)와 V (20% EYP)가 7.69 mg/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항산화능과 tyrosinase저해활성능은 IV에서 각각 68.4, 82.5%로 우수함을 보여, 전체적으로 유자박이 많이 첨가된 과립이 항산화능과 미백효능이 뛰어났다. 본 연구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볼 때 유자박분말에 효소처리를 통해 수용성이 높아지는 유자박분말을 생산하였고, 이를 이용해 제조한 유자과립은 기능성식품으로 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기능성물질을 포함한 제품 개발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며 본 연구에서 제조한 유자과립은 naringin, narirutin, hesperidin, neohesperidin 등의 기능성 플라보노이드, 식이섬유,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어 산업적으로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24462455967 |
ISSN: | 0367-6293 2383-96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