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식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의 참여적 차원과 상호작용 차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s of learner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ased on the learners' choices of topic patterns in a process of online debate of a general subject and to explore the effects in order to suggest the ways fo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9) Vol. 21; no. 9; pp. 63 - 74
Main Author 이란(Ra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1.21.09.06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s of learner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ased on the learners' choices of topic patterns in a process of online debate of a general subject and to explore the effects in order to suggest the ways for activating online debates. For this, it quantitatively analyzed the messages and the patterns in the online debate boards and supplementally implemented a post surve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on the factors of the learners' interactions and the effects. The given topic patterns were 'the presentation of one's opinion' and 'the presentation of pros and c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rticipating degree was higher in the pattern of 'the presentation of one's opinion' apart from the previous study. This study surveyed and, based on the result, it proposed the teachers should refer to the participants' tendency in advance. Also, it presented the deeper meanings on the interactions extracted by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learners showed the strong dependence on the teacher' lectures or his materials and a variety of interactions with diverse objects. Besides, it is revealed that debates are helpful factors for enhancing learners' argumentative thinking, writing skills, and the knowledge about the subject in terms of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emphasized the teachers' educational roles and suggest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online debates in each class should be activated in this era of distanc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 대학 일반 교과목 토론식 수업의 온라인 토론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논제유형에 따른 참여적 차원과 상호작용 차원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토론방의 메시지 수와 양상을 양적으로 분석하였고 사후 설문을 추가로 진행하여 토론의 상호작용 요소들과 효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제시된 두 논제유형은 의견제시형 논제와 목표 제시형 논제였다. 각 논제에의 참여적 차원을 살펴본 결과, 선행 연구와는 달리 의견제시형 논제 참여도가 높았다. 그 이유를 설문으로 탐색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수자가 온라인 토론의 논제를 제시할 때 참여자들의 성향을 참고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후 설문을 통하여 상호작용에 대한 보다 심화된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설문에서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강의와 강의자료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을 보여주었고 토론을 준비하면서 다양한 자료들과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토론은 학습자들의 논증적 사고, 글쓰기, 해당 교과목 지식의 습득과 심화에도 도움을 주는 요소라는 인식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교수자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고, 원격교육의 시대에 온라인 토론의 교육적 효과가 각 교과목마다 활성화되기를 제안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28837764042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1.21.09.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