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SF영화를 통해 본 미래사회와의 조우 방식 -〈설국열차〉와 〈승리호〉를 중심으로

This article compared and analyzed the SF films Snowpiercer and Space Sweepers, which embody the imagination of disaster for the future dystopian society. In common, the two films represent the future society as a society with a serious climate crisis and an extremely widening gap between the rich 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2) Vol. 22; no. 2; pp. 665 - 681
Main Author 신진숙(Jin-Sook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2.22.02.66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article compared and analyzed the SF films Snowpiercer and Space Sweepers, which embody the imagination of disaster for the future dystopian society. In common, the two films represent the future society as a society with a serious climate crisis and an extremely widening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Both films use similar narrative strategies: representing a isolated, twisted-willed scientist figure, building a main stage as catastrophic hierarchical capitalist society, and focusing on the conflicts between a dominant group possessing the science-capital-power and a resistant but ordinary subjects. However, there is the different framing on the future society in terms of representing nature, science technology, and human-nonhuman agency. This distinction is shaped by the narrative function of the objects represented by two films. 본 논문은 미래 디스토피아 사회에 대한 재앙의 상상력을 구현한 한국 SF 영화 <설국열차>와 <승리호>를 비교·분석했다. 서사 전략을 살펴보면, 두 영화는 공통적으로 미래사회를 지구환경의 위기가 일상화되고 빈부격차가 극단적으로 심화된 자본주의 사회로 재현하고 있다. 인류를 구원함과 동시에 멸망시키는 천재 과학자가 출현하고 과학기술-자본을 독점한 지배권력이 등장한다. 그리고 이에 맞서는 평범한 주체들로 구성된 저항 세력을 내세운다. 하지만 두 영화는 이와 같은 표층서사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기저의 심층 서사에서 미래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특히 자연, 과학기술 그리고 인간-비인간 행위자에 대한 인식 차이를 드러낸다. 본 논문은 이를 작품속 사물(오브제)의 구성방식과 그 내러티브 기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명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09834565538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2.22.02.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