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열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resilience. Methods: The subjects were 192 nursing students from a college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3 to 26, 2019 and analyzed using SPSS 22.0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2) Vol. 22; no. 2; pp. 390 - 399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2.390 |
Cover
Loading…
Summary: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resilience. Methods: The subjects were 192 nursing students from a college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3 to 26, 2019 and analyzed using SPSS 22.0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Resil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grade, personal relation, motive for application, major satisfaction, grade point in general characteristics. Academic engagement and resilience showed apparent positive correlation (r=.37, p<.001), stress and resilience showed weak negative correlation (r=-.23, p=.001).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affecting factor was the academic engagement ( =.24), poor of subjective health status ( =-.21), female ( =-.19), junior of grade ( =.13). These variables explained 33.0% of the total variance in resilience. Conclusion: To strengthe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learning atmosphere creation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gular class. Also, a variable academic engagement program should be provided to be able to positive thinking about academic study and achievemen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열의 및 극복력의 정도와 그 관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와 학업열의가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1개 대학 간호대학생 192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2월 23일에서 26일까지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0 program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S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은 제 특성에서 성별, 학년, 대인관계, 지원동기, 전공만족도, 학점평균 평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극복력과 학업열의는 정상관관계, 스트레스와는 역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모형분석에서는 학업열의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상태 중 나쁨, 여성, 3학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3.0%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기수업시간에서부터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한 학습이 권장되는 지지적인 분위기 조성과 학업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학업열의 향상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학업열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PBL 등 교수법 활용을 통하여 극복력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09834530531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2.3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