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치료를 위한 기능성 게임 분석
기능성 게임은 게임의 오락성에 특정 전문 분야(교육, 의료, 스포츠, 국방, 공공 분야 등)의 고유 목적이 결합된 게임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많은 기능성 게임이 개발되고 있지만, 기능성 게임의 개발 요소에 관한 중점사항이 제시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신 치료 분야의 기능성 게임 개발을 위하여, 기존 정신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된 게임들을 Hy Resnick과 Moshe Sherer가 제시한 휴먼서비스(Human Service) 게임의 필요 요소들로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된 요소들을 바탕으로 정신 치료 게임의 개발...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2; no. 4; pp. 417 - 427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Cover
Summary: | 기능성 게임은 게임의 오락성에 특정 전문 분야(교육, 의료, 스포츠, 국방, 공공 분야 등)의 고유 목적이 결합된 게임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많은 기능성 게임이 개발되고 있지만, 기능성 게임의 개발 요소에 관한 중점사항이 제시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신 치료 분야의 기능성 게임 개발을 위하여, 기존 정신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된 게임들을 Hy Resnick과 Moshe Sherer가 제시한 휴먼서비스(Human Service) 게임의 필요 요소들로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된 요소들을 바탕으로 정신 치료 게임의 개발 방법을 논한다.
본 논문은 정신 치료를 위한 기능성 게임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 정신 치료 분야의 기능성 게임의 제작하려는 개발자들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Serious games combine game entertainment with original purpose in special fields(education, health, sport, military, public), Now, many serious games have been developing in this country, but main points on development factors in serious games have not been presented.
In this paper, we analyze existing games which were developed for psychotherapy with essential factors of human-service game presented by Hy Resnick and Moshe Sherer, for developing serious games in psychotherapy field. And, we discuss development methods of psychotherapy game based on the analyzed factors.
This paper shows theoretical bases in serious game for psychotherapy, provides guidelines for developers to produce a serious game in psychotherapy.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G704-001943.2011.12.4.022 |
ISSN: | 1598-2009 2287-73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