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IPO시장에서 일반투자자 배정비율이 저평가에 미치는 영향 : 20% rule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investors' allotment ratio and underpricing for the companies that were newly listed in KOSDAQ market after the 20% rule, from March 2004 to December 2013, by empirical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excess allotment ratio over 20% has a stron...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3) Vol. 18; no. 3; pp. 557 - 567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8.18.03.557 |
Cover
Summary: |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investors' allotment ratio and underpricing for the companies that were newly listed in KOSDAQ market after the 20% rule, from March 2004 to December 2013, by empirical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excess allotment ratio over 20% has a strong explanatory power for underpricing ratio under the 1% significance level. Furthermore, the general investors' allotment ratio is a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 of underpricing ratio under the 5% significance level. There are many hypotheses about underpricing, however, if underpricing is evident with high allocation ratio for general investors, it can be regarded as a signal of company's confidence in earnings after listing.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general investors' allotment ratio can be used as a major explanatory variable tha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undervaluation in the IPO market. 본 연구는 코스닥 IPO시장에서 공모주식 청약 시 일반투자자의 배정비율을 20%이상으로 규정한 2004년 3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한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일반투자자의 배정비율과 저평가율 간의 관계에 대해 실증분석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일반투자자 배정비율의 20% 초과 여부가 저평가율에 있어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지 회귀식을 통해 검증한 결과 1% 유의수준 하에서 의미가 있다고 나타난다. 나아가 일반투자자의 배정비율도 5% 유의수준 하에서 저평가율에 대해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저평가에 대한 가설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지만, 일반투자자 배정비율이 높으면서 저평가가 뚜렷이 나타난다면, 상장 후 주가 및 실적에 대한 공모회사의 자신감을 볼 수 있는 간접적인 신호(Signalling)라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코스닥 IPO시장에서 공모주식 청약 시 일반투자자의 배정비율이 저평가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설명변수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810748278753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8.18.03.5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