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위생사의 직무역할 특성과 사회적 지원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업무역할특성과 사회적 지원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도된 조사연구로 울산지역 치과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 중 연구에 동의한 10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ons-way ANOVA,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역할 특성과 감정노동과의 관계에서 역할갈등이 높고 역할 모호성이 클수록 감정노동의 강도가 높았고 사회...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9; no. 9; pp. 1707 - 171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8.19.9.170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업무역할특성과 사회적 지원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도된 조사연구로 울산지역 치과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 중 연구에 동의한 10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ons-way ANOVA,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역할 특성과 감정노동과의 관계에서 역할갈등이 높고 역할 모호성이 클수록 감정노동의 강도가 높았고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감정노동의 강도가 낮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들의 감정노동이 개인적 차원에서 스스로 감정을 잘 관리하는 차원을 넘어 치과병의원에서의 구성원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과 치과위생사 업무특성에 따른 명확성과 보다 전문적인 업무 세분화를 통해 해소될 수 있다고 볼 수 있어 이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o 103 dental hygienists who agreed to research among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Ulsan-based dental clinics in an attempt to analyze the impact of dental roles and social support on emotional labor. Statements of collected data were performed on t-test and ons-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 program. The study found that the higher role conflicts and greater role ambiguity in relation to direct trade and emotional labor, the higher the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and the more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The emotional labor of dental hygienists can be solved at a personal level by trying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with members at a dentist's office and by making clear and more professional work segmentation according to their working characteristics. This will help develop a plan to manage the emotional labor of dental hygienist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18.19.9.1707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8.19.9.1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