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립드러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일반 현황 및 주제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trends and trends of the researchin on flipped learning (FL) in Korea. To accomplish this, a total of 680 papers were selected by using the RISS academic paper search function, and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basic bibliographic infor...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5) Vol. 19; no. 5; pp. 74 - 8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trends and trends of the researchin on flipped learning (FL) in Korea. To accomplish this, a total of 680 papers were selected by using the RISS academic paper search function, and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basic bibliographic information provided by RISS and the coding scheme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analysis. The dat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thesis, method of research, subject of study, academic field of study, topic of research. As a result, the first academic article related to FL appeared in 2013. After the year, FL research has been increased rapidly in various fields. In terms of purpose of study, introduction of FL, basic discussion, exploratory application, and deepening and expansion of the discussion have gradually developed. Now that the challenge of quantitative growth has been fully achieved, it is proposed to examine and consolidat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FL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플립드러닝 관련 연구의 현황과 동향을 정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RISS의 학술 논문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총 680 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수집, 선정하였고, RISS에서 제공하는 기본 서지 정보와 분석 과정에서 도출한 분류 유목을 기반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유목은 논문 성격, 연구 방법, 연구 대상, 학문 분야, 연구 주제, 논문 주제어 분류로 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에 학술논문형식으로 플립드러닝이 다루어진 것은 2013년부터다.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학문 분야, 논의 주제, 관련 변인 등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확산되어 나갔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목적이나 주제 측면에서도, 플립드러닝의 소개와 기초 논의, 탐색적 적용, 심화 및 확장의 순으로 점차 발전해 왔다. 양적 성장의 과제가 충분히 달성된 지금, 플립드러닝 연구의 이론적 기초와 토대를 점검하고 공고히 할 것을 제안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916936724550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9.19.05.0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