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교정작물 내 비의도적 돌연변이의 안전성 논란에 관한 과학적 고찰

The number of commercially approved gene-edited crop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in South Korea, it has led to intense investment in gene-edited crop development to increa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as with genetically modified crops, the safety of gene-edited crops regarding unexp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 47; no. 3; pp. 185 - 193
Main Author 이신우(Shin-Woo Lee), 김윤희(Yun-Hee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Korean Society for Plant Biotechnology 30.09.2020
(사)한국식물생명공학회
한국식물생명공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2818
2384-1397
DOI10.5010/JPB.2020.47.3.18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e number of commercially approved gene-edited crop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in South Korea, it has led to intense investment in gene-edited crop development to increa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as with genetically modified crops, the safety of gene-edited crops regarding unexpected risks for humans and the environment is subject to an ongoing debate. In particular, unintentional "off-target effects" have become the center of controversy. In this review, we discuss typical plant characteristics (including somatic variation and ploidy), the extent of various off-target effects in genetically modified crops generated via horizontal transfer in nature, and the off-target effects in commercial genetically modified crops. We conclude that most off-target effects possibly occurring in gene-edited crops are not expected to be critically harmful to humans or the environment. Therefore, existing regulation for genetically modified crops should be enough for the risk assessment of gene-edited crops. 최근, 유전자교정 작물의 상업화 승인 건수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유전자교정 작물의 개발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통하여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전자변형작물의 상업화 과정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어온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잠재적인 위해성 논란이 유전자교정 작물에 대하여서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비의도적 돌연변이(off-target)가 가장 큰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리뷰는 식물이 내포하고 있는 장점인 배수체, 체세포 돌연변이 그리고 자연 상태에서 아그로박테리아의 T-DNA 단편의 수평 전이로 창출된 자연적인 유전자변형작물과 기존에 상업화가 승인된 유전자변형작물 이벤트들의 게놈 내 비의도적 돌연변이 사례 등을 검토한 결과 유전자교정 작물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비의도적 돌연변이는 인체 및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위해성을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고 할 수 있었다. 이에, 유전자교정 작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새로운 규정을 제정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의 유전자변형작물의 안전 관리규정을 일부 "용어의 정의" 등만 개정하여 적용하면 충분할 것으로 사료 되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29757728371
https://doi.org/10.5010/JPB.2020.47.3.185
ISSN:1229-2818
2384-1397
DOI:10.5010/JPB.2020.47.3.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