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지적기능 아동을 위한 언어기반 인지강화 기능성 게임 구현
본 연구는 경계선지적기능 아동의 인지훈련 프로그램으로 ‘언어기반 인지강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해당 콘텐츠를 활용한 기능성 게임화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콘텐츠는 4개 인지 영역(감각지각, 주의집중, 작업기억, 추론/지식)에 대해 4개 언어 차원(음소-단어-문장-담화)의 활동들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 16개의 언어활동 콘텐츠를 모바일 앱 게임으로 구현하여 일반아동과 BIF아동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파일럿 테스트 결과, 두 집단의 게임 수행시간과 정확도 측정치는 지능 점수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게임의 난이도에 따른...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9; no. 6; pp. 1051 - 1060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8.19.6.105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경계선지적기능 아동의 인지훈련 프로그램으로 ‘언어기반 인지강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해당 콘텐츠를 활용한 기능성 게임화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콘텐츠는 4개 인지 영역(감각지각, 주의집중, 작업기억, 추론/지식)에 대해 4개 언어 차원(음소-단어-문장-담화)의 활동들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 16개의 언어활동 콘텐츠를 모바일 앱 게임으로 구현하여 일반아동과 BIF아동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파일럿 테스트 결과, 두 집단의 게임 수행시간과 정확도 측정치는 지능 점수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게임의 난이도에 따른 수행시간과 정확도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게임 구현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게임 시행 전·후 실시한 인지과제의 수행시간 변화를 통해 두 집단 모두에게서 인지강화 효과를 엿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instituting the serious games of language-based cognitive enhancement for the BIF children. The program consists of 4 cognitive areas (perception, attention, working memory, knowledge inference) in 4 language dimensions (phoneme, word, sentence, discourse). 16 games of 4 areas/2 dimensions with 3 difficulty levels were implemented in a mobile station and pilot-tested to children including BIFs. The results from the pilot tests supported for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our games: Children’s game performance correlated with their IQ scores (overall and sub-areas) reveal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stroop scores in pre-and-post training hinted the increase of children’s cognitive control. KCI Citation Count: 7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18.19.6.1051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8.19.6.10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