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화수학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에 대한 학생 인식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realization of the opportunity to learn given to students by examining students' cognition for enrichment mathematics textbook tasks' levels of cognitive demand. First, we analyz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theoretical fr...
Saved in:
Published in | Suhak gyoyukak yeon-gu (Online) Vol. 27; no. 4; pp. 615 - 63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수학교육학회
30.11.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realization of the opportunity to learn given to students by examining students' cognition for enrichment mathematics textbook tasks' levels of cognitive demand. First, we analyz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Second, we examine students' cognition about the distribution of the mathematics textbook tasks' levels of cognitive demand. And we analyze how the opportunity to learn actually work. Third, in the sense that enrichment textbooks are textbooks for science school students, we analyze whether the opportunity to learn for gifted is offere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levels of cognitive demand, PNC tasks account most. Second, students also cognize that PNC tasks account most. Third, tasks for gifted are not offered and students also cognize that opportunity to learn for gifted is lacked. 본 연구는 심화수학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에 대한 학생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학생에게 주어진 학습기회의 실제 발현 여부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이론적 틀에 기반 한 분석을 통해 심화수학 교과서 과제의 분포에 나타난 특징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둘째, 실제 심화수학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생들이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 분포와 관련하여 인식하고 있는 특징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교과서에 제공된 학습기회가 실제로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심화수학 교과서가 과학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교재라는 측면에서, 영재교육을 위한 학습기회가 제공되고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심화수학 교과서에는 PNC 과제가 주로 제시되어 있었으며, 학생들 역시 PNC 과제의 해결경험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영재교육을 위한 과제가 제공되지 않았으며, 학생들 역시 이에 대한 경험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21464985562 |
ISSN: | 2288-7733 2288-83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