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살펴본 민간 주도 정보제공의 역할 분석

With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it is pointed out that exposure to false information to the public could cause serious problems. However, in pandemic situations, there is also an positive effect for the public to share private-led information rather than centralized unilateral delivery of inf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4) Vol. 21; no. 4; pp. 1 - 13
Main Authors 조호수(Hosoo Cho), 장문경(Moonkyoung Jang), 류민호(Min Ho Ry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1.21.04.00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With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it is pointed out that exposure to false information to the public could cause serious problems. However, in pandemic situations, there is also an positive effect for the public to share private-led information rather than centralized unilateral delivery of inform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of private-led information provision in infectious disease situations. To this end,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is carried out on online reviews of all COVID-19-related applications in Google Playstore provid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priva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r's evaluation of private apps, which were used from the early stage of COVID-19, was much higher than the apps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 particular, us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private apps than government apps in all aspects such as reliability of information, risk avoidance, timeliness, usefulness, and s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a post-monitoring system is recommended rather than a pre-block of all private apps. 코로나19에 대한 전세계적 팬데믹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잘못된 정보가 대중에게 노출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에 대한 우려와 함께 현재 주요 앱 마켓에서 민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차단 조치도 단행되고 있다. 그러나 감염병 상황에서 중앙집중식의 일방적인 정보 전달보다 대중이 스스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효과적인 측면도 동시에 존재한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해 감염병 상황에서 민간 주도의 정보제공에 대한 이용자 반응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현재 한국의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든 코로나19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용자들의 반응에 대한 토픽 모델링과 감성분석을 실시한다. 분석 결과, 이용자들은 정보의 신뢰성, 위험회피, 실시간성, 유용성, 안정성 등 모든 차원에서 정부 대비 민간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민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일방적인 차단이 아닌, 사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 등을 제안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16047303088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1.21.0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