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Recent years have seen a rapid boom of the 4th industry and relevant policies in region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y on the local economy. This study examines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the 4th industry on regional economy by using a spatial statistic...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3) Vol. 21; no. 3; pp. 375 - 38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03.375 |
Cover
Summary: | Recent years have seen a rapid boom of the 4th industry and relevant policies in region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y on the local economy. This study examines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the 4th industry on regional economy by using a spatial statistical mode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gglomeration of the 4th industr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vity of the local economy, while there is not good enough evidence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4th industry and the income of the reg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mpact of the agglomeration of the fourth industry on the local economy is limited. In addition, the impact on the local economy was different by the type of the fourth industry,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financial and insurance industr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growth of the local economy. 최근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는 4차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책들이 수립되고 있으나 실제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의 집적수준의 변화가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전국의 시군구를 대상으로 공간통계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차 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의 생산성 측면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지역의 소득에 대해서는 영향을 준다는 근거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4차 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4차 산업 유형별로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였으며, 지역경제 영향을 주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은 제조업과 금융 및 보험업의 집적으로 나타났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12054772548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03.3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