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백합에서의 바이러스 발생 현황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status of lily viruses on Jeju island, lil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015 to 2018 and examined for virus infection using RT-PCR. Of the viral infections, mixed and single infections were 70.0% and 17.9%,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mixed infections was highest for...
Saved in:
Published in | Sigmulbyeong yeon'gu Vol. 25; no. 2; pp. 79 - 83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물병리학회
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262 2233-9191 |
DOI | 10.5423/RPD.2019.25.2.79 |
Cover
Loading…
Summary: |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status of lily viruses on Jeju island, lil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015 to 2018 and examined for virus infection using RT-PCR. Of the viral infections, mixed and single infections were 70.0% and 17.9%,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mixed infections was highest for PlAMV and LSV as 43.4% in 2015; PlAMV, LSV 33.1% in 2016; LSV, LMoV 10.2% in 2017; and PlAMV, LSV, LMoV and CMV 15.8% in 2018. The incidence of PlAMV was observed to be 82.0% in 2015, 49.4% in 2016, 13.6% in 2017, and 39.5% in 2018 after the first occurrence of PlAMV in 2013. No symptoms were observed for single infection with LSV. However, in the case of mixed infection with LSV and LMoV, mosaic and leaf malformation symptoms appeared. With mixed infection with LSV and CMV, pale brown necrotic spots appeared, and mosaic and leaf curling were induced. PlAMV was more common in mixed infection than in single infection, and caused necrosi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reddish-brown spots. PlAMV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arketability of lilies owing to the generation of leaf anomalies and curls, and its symptoms were more severe in mixed infections. 제주에서 재배되는 백합에서의 바이러스 발생률 및 발병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2015~2018년까지 시료를 채집하여 RT-PCR로 바이러스 감염양상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시료에 조사된 바이러스는 LSV 감염비율이 69.7%, PIAMV 46.8%, LMoV 38.3%, CMV 17.1% 순으로 발생하였으며, 바이러스 감염형태는 복합감염이 70.0%, 단독감염이 17.9%로 대부분 복합감염의 형태로 발병됨을 알 수 있었다. 복합감염의 발생률은 2015년 PlAMV와 LSV의 2종 복합감염이 76.7%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2016년은 PlAMV, LSV와 LMoV의 3종 복합감염 25.9%, 2017년에는 LSV, LMoV와 CMV의 3종 복합감염이 14.9%로 발생되었으며, 2018년 PlAMV, LSV와 LMoV의 3종 복합감염 11.8%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제주지역의 발생하는 주요 바이러스는 LSV와 PlAMV를 포함한 복합감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종~4종 복합감염도 대부분 LSV와 PlAMV를 포함한 복합감염에 LMoV와 CMV가 결합한 형태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조사기간 4년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LSV와 PlAMV 복합감염의 양상은 제주지역 백합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중요한 감염형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2013년 PlAMV 최초 발생으로 긴급 공적방제 후 PIAMV 발생률은 2015년 82.0%, 2016년 49.4%, 2016년 13.6%, 2018년에는 39.5%로 PlAMV는 매년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다. LSV 단독감염시에는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복합감염시에는 LSV와 LMoV가 함께 감염되면 모자이크와 잎의 malformation증상이 함께 나타났다. LSV, CMV 및 LMoV의 3종 복합감염 시 엷은 갈색빛의 괴저 반점이 나타났으며, 모자이크와 leaf curling이 유발되었다. PIAMV는 단독감염보다 복합감염이 많았으며, 복합감염의 증상으로는 적갈색의 퇴록반점 발생 후 괴사로의 진전, 심한 모자이크 및 잎 기형, 축엽 등 백합의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리고, 복합감염일 때 병징이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919263352765 https://doi.org/10.5423/RPD.2019.25.2.79 |
ISSN: | 1598-2262 2233-9191 |
DOI: | 10.5423/RPD.2019.25.2.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