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상담 연구 동향: 기업상담자를 중심으로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workplace counseling with a focus on workplace counselor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2 research papers on workplace counselors published until January 2021 including thesis, dissertation and journal articles, focusing on year of publ...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3) Vol. 22; no. 3; pp. 453 - 46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3.453 |
Cover
Loading…
Summary: |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workplace counseling with a focus on workplace counselor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2 research papers on workplace counselors published until January 2021 including thesis, dissertation and journal articles, focusing on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topics, subjects, and methodolog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 this area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since 2008.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opics were roles and competencies of workplace counselors and workplace counselors' adjustment to the job. Workplace counselors(77%) were the most commonly studied research subjects and all three parties of workplace counseling(18%) followed. The qualitative method was employed way more (63%) than mixed methods(27%) and quantitative method(9%).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ovided. 본 연구는 기업상담자를 중심으로 국내 기업상담 연구를 종합하여 그 흐름과 경향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1월까지 발표된 기업상담자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총 22편의 출간연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상담자 관련 연구는 2008년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연구주제 분석 결과, 기업상담자의 역량 및 역할에 대한 연구와 직무 및 직업 적응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에서는 기업상담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77%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기업상담의 세 주체 모두(기업상담자, 근로자,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18%)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분석 결과, 질적연구가 전체의 63%로 혼합연구(27%)나 양적연구(9%)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기업상담 연구 및 실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11258121658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3.4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