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 조기 수축 비트 검출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최적 파라미터 검출
Legacy studies for classifying arrhythmia have been studi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Neural Network, Fuzzy, etc. Deep learning is most frequently used for arrhythmia classification using error backpropagation algorithm by solving the limit of hidden layer number, which is a problem...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3; no. 12; pp. 1542 - 155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4-4772 2288-4165 |
DOI | 10.6109/jkiice.2019.23.12.1542 |
Cover
Summary: | Legacy studies for classifying arrhythmia have been studi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Neural Network, Fuzzy, etc. Deep learning is most frequently used for arrhythmia classification using error backpropagation algorithm by solving the limit of hidden layer number, which is a problem of neural network. In order to apply a deep learning model to an ECG signal,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optimal model and parameters. In this paper, we propose optimal parameter extraction method based on a deep learning. For this purpose, R-wave is detected in the ECG signal from which noise has been removed, QRS and RR interval segment is modelled. And then, the weights were learned by supervised learning method through deep learning and the model was evaluated by the verification data. Th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rate of R wave and PVC is evaluated through MIT-BIH arrhythmia database. The performance results indicate the average of 99.77% in R wave detection and 97.84% in PVC classification. 부정맥 분류를 위한 기존 연구들은 분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신경회로망(Artificial Neural Network), 퍼지(Fuzzy),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등을 이용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특히 딥러닝은 신경회로망의 문제인 은닉층 개수의 한계를 해결함으로 인해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 부정맥 분류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딥러닝 모델을 심전도 신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모델선택과 파라미터를 최적에 가깝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실 조기 수축 비트 검출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최적 파라미터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잡음을 제거한 ECG신호에서 R파를 검출하고 QRS와 RR간격 세그먼트를 추출하였다. 이후 딥러닝을 통한 지도학습 방법으로 가중치를 학습시키고 검증데이터로 모델을 평가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 평가를 위해 MIT-BIH 부정맥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각 파라미터에 따른 딥러닝 모델로 훈련 및 검증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R파의 평균 검출 성능은 99.77%, PVC는 97.84의 평균 분류율을 나타내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905653789187 http://jkiice.org |
ISSN: | 2234-4772 2288-4165 |
DOI: | 10.6109/jkiice.2019.23.12.15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