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형 에이전트의 설명 기능과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사용자 경험 차이에 관한 연구

Nowadays, smart speakers are increasingly personalized and serve as recommendation agents for user. The aim of this study is find out effects of 'Explanation facilities' on transparency, perceived trust, user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s of users to reuse, privacy risk, and quality...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 Vol. 20; no. 2; pp. 203 - 214
Main Authors 강찬영(Chan-Young Kang), 최기은(Kee-Eun Choi), 강현민(Hyun-Min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2.2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Nowadays, smart speakers are increasingly personalized and serve as recommendation agents for user. The aim of this study is find out effects of 'Explanation facilities' on transparency, perceived trust, user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s of users to reuse, privacy risk, and quality of recommendation in the context of an interact with smart speaker's conversational agents. And we also use measurement for level of privacy concerns to see individuals's level of privacy concerns affected the assess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all measurement variabl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Explanation facilities' Second, perceived trust, privacy risk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dividual's level of privacy concern. This study found that 'Explanation facilities' could be applied in context of smart speaker and possibility of cognitive dissona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privacy concerns. 오늘날 스마트 스피커는 점차 개인화되어 사용자들을 위해 특정 제품을 추천하는 추천 에이전트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스피커의 대화형 에이전트 맥락에서 '설명 기능'이 투명성, 인지된 신뢰, 사용자 만족도, 재사용 행동 의도, 프라이버시 위협, 추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염려 수준을 사용자 구분을 위한 척도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설명이 있는 조건이 없는 조건 보다 모든 측정 변인에서 높게 평가되었음을 확인하였고,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인지된 신뢰, 프라이버시 위협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 스피커 맥락에서 설명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과 프라이버시 역설 현상을 발견하였으며,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인지부조화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07658765371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