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뉴딜사업의 가로환경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연구: 대구광역시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r's evaluation of the street environment for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which maintains its original urban context and improves the urban environment, as opposed to the full-demolition projects such as urban redevelopment or reconstr...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4) Vol. 20; no. 4; pp. 273 - 28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r's evaluation of the street environment for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which maintains its original urban context and improves the urban environment, as opposed to the full-demolition projects such as urban redevelopment or reconstruction. A questionary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for the general neighborhood type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in Daegu. An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street environmen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treet environments were different for each project. Second, the cleanliness of sidewalks showed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t all projects. Thir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signs and buildings was high, but their importance was low. Last, residents' satisfaction with parking and the segregation of pedestrian and vehicle was low, but their importance was high. It is necessary to build differentiated plans and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residents in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재개발이나 재건축과 같은 전면철거형의 사업과는 달리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며 도시환경을 개선하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대상으로 가로환경에 대한 이용자의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가로환경 평가항목을 구축한 후, 대구광역시 내 도시재생 뉴딜사업 중 일반근린형 사업대상지인 중구 동산동, 동구 효목동, 달서구 죽전동의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 간 가로환경에 대한 이용자들의 비교를 위해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별로 가로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보도청결상태는 모든 대상지에서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간판 및 건물에 대한 주민의 만족도는 높으나 중요도는 낮게 나타났다. 반면, 주차 및 보차분리 관한 주민의 만족도는 낮으나 중요도는 높게 나타났다. 향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 지역 주민의 요구에 맞는 차별화된 도시재생 사업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013661038314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0.20.04.2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