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소비자의 한국화장품 선택속성이 브랜드 신뢰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매체와 판촉유형의 조절효과 분석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Korean cosmetics selection attributes on Mongolian consumers' brand reliability and purchasing intentions. We are also to verify the relationship impacts between consumers brand reliability in advertising media and the purchase intention on the type of promo...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0) Vol. 20; no. 10; pp. 134 - 14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0.20.10.134 |
Cover
Loading…
Summary: |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Korean cosmetics selection attributes on Mongolian consumers' brand reliability and purchasing intentions. We are also to verify the relationship impacts between consumers brand reliability in advertising media and the purchase intention on the type of promotion. 25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Mongolian consumers and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analysis shows that product price, image and quality that they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reliability, while familiarity has not had a meaningful impact on brand reliability. Moreover, brand reliabilit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djustment effect test according to advertising media, the relationship impacts between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and brand reliability were shown positive effect in part. Finally, the type of sales promotion were found to have a controlling effect between brand reliability and purchasing intention. These results show applicable implications for Korean cosmetics companies in terms of marketing and operations when entering Mongolia's cosmetics industry. 본 연구는 한국화장품 선택속성 (친숙성, 가격, 이미지 및 품질)이 몽골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광고매체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도 간의 영향 관계와 판촉유형에 따른 구매 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몽골 소비자 255명의 설문지를 수집하고 연구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제품 가격, 이미지, 품질은 브랜드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친숙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는 브랜드 신뢰도는 구매 의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매체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결과 제품 선택속성과 브랜드 신뢰도 간의 영향 관계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판촉유형은 브랜드 신뢰도와 구매 의도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기업이 몽골의 화장품 산업에 진출했을 때 현지에서 구사할 전략에 시사점을 도출한다고 할 수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031458603851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0.20.10.1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