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차원적 아동빈곤 경험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연구
This study presents the effects and phenomenological meanings of child poverty on child development by implementing in-depth interviews with 19 adults and 20 children in Korean Welfare Qualitative Panel Study and analyzing multi-dimensional categories of child poverty experiences. By focusing on rel...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 Vol. 20; no. 2; pp. 182 - 196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0.20.02.182 |
Cover
Summary: | This study presents the effects and phenomenological meanings of child poverty on child development by implementing in-depth interviews with 19 adults and 20 children in Korean Welfare Qualitative Panel Study and analyzing multi-dimensional categories of child poverty experiences. By focusing on relative deprivation, this study lists the insider's view on poverty experiences such as pauperization, housing, health, education, child-raising, culture, family and child's dream, and then it describes poverty experiences in a heuristic and hermeneutic way from the child's view. Findings shows that poverty experiences of childhood are associated with negative child development experiences such as trauma, deprivation of growth and opportunity, childhood adultificatio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overty and limiting dreams. This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insider's view, can contribute not only to profound understandings of multi-dimensional child poverty but to identification of client based policy demand, which enables poverty policy studies expand their boundaries.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에 연계된 질적패널 중 성인 19명과 아동 20명에 대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빈곤가구의 아동빈곤의 경험에 대한 다차원적인 범주 분석을 실시하고, 빈곤경험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현상학적 주제분석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상대적 박탈감에 초점을 두고, 빈곤화 과정, 주거, 건강, 교육, 양육, 문화, 가족, 아동의 꿈 차원에서 드러나는 빈곤 경험을 내부자 관점에서 기술하고, 빈곤 경험을 아동발달 관점에서 발견적이고 해석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아동기의 빈곤경험은 트라우마, 성장과 기회의 박탈, 애어른, 빈곤의 대물림, 꿈의 제한이라는 부정적인 아동발달 경험과 결부되어있었다. 이러한 내부자 시각에 기반한 질적 연구는, 다차원적 아동빈곤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대상 밀착형 정책수요를 가능하게 하여, 빈곤 정책연구 외연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007658765358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0.20.02.1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