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재배 트리티케일에 발생한 붉은곰팡이병의 다양성 및 독소화학형 분석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disease incidence and distribution of toxigenic in Korean triticale. The pathogen of triticale that cause Fusarium head blight were isolated from five different triticale cultivars that cultivated in Suwon Korea at 2021 year. The 72 candidate were classified as a Fusar...
Saved in:
Published in | Sigmulbyeong yeon'gu Vol. 27; no. 4; pp. 172 - 179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물병리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262 2233-9191 |
DOI | 10.5423/RPD.2021.27.4.172 |
Cover
Loading…
Summary: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disease incidence and distribution of toxigenic in Korean triticale. The pathogen of triticale that cause Fusarium head blight were isolated from five different triticale cultivars that cultivated in Suwon Korea at 2021 year. The 72 candidate were classified as a Fusarium asiaticum by morphology analysis and by ITS1, TEF-1α gene sequenc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pathogenicity with 72 isolates on seedling triticale, 71 isolates were showed disease symptom. Also, seven out of 71 Fusarium isolates were inoculated on the wheat, to test the pathogenicity on the different host. The results showed more low pathogenicity on the wheat than triticale. The results of analysis of toxin type with 72 isolates, 64.6% isolates were produced nivalenol type toxin and other 4.6% and 30.8% isolates were produce 3-acetyldeoxynivalenol and 15-acetyldeoxynivalenol, respectively. To select fungicide for control, the 72 Fusarium isolates were cultivated on the media that containing four kinds fungicide. The captan, hexaconazole, and difenoconazole·propiconazole treated Fusarium isolates were not showed resistance response against each fungicide. However, six isolates out of 72 isolates, showed resistance response to fludioxonil. This study is first report that F. asiaticum causes Fusarium head blight disease of triticale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사료작물로써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트리티케일에서 발생한 붉은곰팡이병 원인균의 동정 및 독소 type을 분석하고 트리티케일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제 약제를 선발하고자 분리된 붉은곰팡이 균주의 농약저항성 발생 여부를 분석하였다. 조성, 신조성, 신영, 신성, 세영 등 5개 트리티케일 품종에서 평균 9.15%의 병 발생 이삭률을 보였으며, 병 발생 낱알률은 29.2%로 나타났다. 그 결과 트리티케일에서 발생한 붉은곰팡이병 발생률은 평균 3.52%로 나타났다. 붉은곰팡이병에 감염된 개체로부터 총 91개의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이 중 붉은곰팡이 균주는 총 72개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균주의 형태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트리티케일에서 분리한 균주들은 전부 Fusarium asiaticum으로 동정되었다. 분리 동정된 균주들의 독소 type을 PCR을 통해 분석한 결과, nivalenol (NIV) type 독소는 64.6%, 3-acetyldeoxynivalenol은 4.6%, 15-acetyldeoxynivalenol은 30.8%로 대부분이 NIV type독소를 생성하는 F. asiaticum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봄철 이상 기상현상으로 여러 식량 작물에 붉은곰팡이병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다. 트리티케일의 경우 붉은곰팡이병을 방제할 수 있는 등록약제가 없다. 본 실험에서는 보리와 밀에 등록된 약제를 대상으로 트리티케일에서 분리된 붉은곰팡이병 균주들의 약제 내성을 측정한 결과 captan, hexaconazole, difenoconazole·propiconazole 합제는 균사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다. Fludioxonil의 경우 72개 균주 중 6개의 균주가 권장 농도에서 반수영향생육기준치인 42.5 cm를 넘은 47.96±3.15의 균사 생장율을 보여 fludioxonil에 대한 내성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 보고 되는 F. asiaticum에 의한 트리티케일의 붉은곰팡이병 발생 사례이며, 또한 붉은곰팡이가 생성하는 독소 타입을 구명하고, 등록 방제 약제가 없는 트리티케일에 효율적으로 방제가 가능한 내성 미발생 약제를 제시하는 중요한 연구 결과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10952782592 https://doi.org/10.5423/RPD.2021.27.4.172 |
ISSN: | 1598-2262 2233-9191 |
DOI: | 10.5423/RPD.2021.27.4.1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