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popolysaccharide로 유도한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에서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ethanol extract (OJE) and its fraction o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OJE remarkably reduced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iNOS) and cyclooxygen...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5; no. 11; pp. 1595 - 1603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ethanol extract (OJE) and its fraction o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OJE remarkably reduced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resulting in inhibition of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order to identify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ioactive fractions, OJE was fractionated into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ethyl acetate and dichloromethane fractions reduced production of NO without cytotoxicity. Especially, the ethyl acetate fraction effectively reduced protein expression of iNOS and COX-2.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was also reduced by ethyl acetate fractions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These data suggest that OJE and its fraction possess pharmacological activity and might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anti-inflammatory agents or dietary supplements. 본 연구에서는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LPS에 의해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해 추출물이 미치는 항염증 효과를 살펴보았다.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은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고, 결과적으로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그리고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처리했을 때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 전처리 실험군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의 형성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중 미나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량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현저히 감소시킴에 따라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 그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염증을 완화시키는 유효성분이 많은 것을 규명하였고 향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어떠한 유효성분이 있는 지에 대해 추후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항염증 효능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608259724435 G704-000433.2016.45.11.013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