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든챔피언기업의 기업가정신, SWOT요인의 경쟁(대응)능력,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the entrepreneurship, SWOT factors, and performance in Korean hidden champion firms. 112 potential Korean hidden champions were drawn at random from the hidden champion candidates of Export-Import Bank of Korea.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th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벤처창업연구 Vol. 11; no. 2; pp. 21 - 33
Main Author 이상석(Sang Suk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7557
2671-9509
DOI10.16972/apjbve.11.2.201604.2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the entrepreneurship, SWOT factors, and performance in Korean hidden champion firms. 112 potential Korean hidden champions were drawn at random from the hidden champion candidates of Export-Import Bank of Korea.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them, the entrepreneurship factors categorized with organizational risk taking,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from previous researches(Khandwalla, 1977; Miller, 1983; Miller & Friesen, 1978, 1982). Also, four SWOT factors classified into strength, weakness, opportunities, and threat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we found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between the SWOT factors and entrepreneurship factors, and they sequentially affects to performance. That is, as a presented with previous research, there is verified that entrepreneurship is caused by organizational risk taking,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Also, SWOT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to business performance. Some guidelines for practicing potential Korea hidden champions as a result of this would include;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 potential hidden champions consulting approach in global perspectives; secondly, effective governmental support programs for hidden champions should be developed for positive impacts of according to these results. 본 연구는 한국형 히든챔피언의 기업가정신이 SWOT경쟁(대응)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가정신은 기존연구자들(Khandwalla, 1977; Miller, 1983; Miller & Friesen, 1983)에 의해서 주장해 왔던 위험감수성, 진취성, 혁신성의 차원을 포함하는 변수들을 이용하였으며, SWOT요인의 경쟁(대응)능력, 성과간의 관계분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가설(HI)은 히든챔피언의 기업가정신(진취성, 위험감수성, 혁신성)이 SWOT요인의 경쟁(대응)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히든챔피언의 기업가정신이 강할수록 더 높은 SWOT요인의 경쟁(대응)능력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 중에서 혁신성은 다른 요인에 비해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가설(HII)은 SWOT요인의 경쟁(대응)능력은 성과에 정(+)과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점과 기회요인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약점과 위험요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강점과 기회요인이 약점과 위험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히든챔피언의 경쟁우위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를 적용하여 앞으로 히든챔피언의 육성 및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615964635759
G704-SER000001371.2016.11.2.008
ISSN:1975-7557
2671-9509
DOI:10.16972/apjbve.11.2.2016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