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신저에서 이모티콘 캐릭터를 통한 플랫폼 비즈니스 확장에 관한 연구 - 카카오 프렌즈와 라인 프렌즈를 중심으로

SNS on the mobile platform is an essential element and tool for communication and has become a part of life for many people. Having been accustomed to non-face-to-face communication, people today have chosen to use emoticons instead of text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e use of emoticons is cons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4) Vol. 20; no. 4; pp. 151 - 158
Main Author 김호(H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4.15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SNS on the mobile platform is an essential element and tool for communication and has become a part of life for many people. Having been accustomed to non-face-to-face communication, people today have chosen to use emoticons instead of text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e use of emoticons is constantly growing. This is because the emoticons in various styles of drawings and movements can evoke emotional and sentimental reactions in users and express their tastes in addition to feeling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use of initial emoticon characters released by two most leading SNS platforms in Korea--Kakao for Kakao Talk and Naver for Line--and their expansion to various platform businesses. Based on the cases of the two companies, it discussed the development and goals of Korea-made emoticons in the future as cultural contents. 모바일을 활용한 SNS는 소통을 위한 필수 요소이고 수단이자 현대인의 삶의 일부분이 되었다. 비대면 소통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은 문자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이모티콘을 선택하였고, 꾸준히 그 사용량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다양한 스타일의 그림체와 움직임을 가지고 있는 이모티콘이 사용자들에게 감정적,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켜 그들의 취향까지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국내를 대표하는 SNS 플랫폼인 (주) 카카오에서 출시한 카카오톡(Kakao talk)과 (주) 네이버가 내놓은 라인(Line)의 초기 이모티콘 캐릭터를 이용과 다양한 플랫폼 사업으로의 확장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양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이모티콘이 문화콘텐츠로서의 발전 방향과 지향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13661038266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4.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