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디 교잡 품종 개발을 위한 잔디 생존률, 재생산률 및 꽃대 출현률과의 상관관계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primary data through analysis of zoysia grass genetic resources to develop grass cultivars with beneficial novel properties. Zoysia grass (Zoysia. spp) is native to Korea, and is mainly propagated through stolons. However, since seed coat treatment technology wa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 66; no. 3; pp. 265 - 269
Main Authors 한경덕(Gyung Deok Han), 정지현(Ji Hyeon Jung), 정용석(Yong Suk Ch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01.09.2021
한국작물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primary data through analysis of zoysia grass genetic resources to develop grass cultivars with beneficial novel properties. Zoysia grass (Zoysia. spp) is native to Korea, and is mainly propagated through stolons. However, since seed coat treatment technology was developed, the breeding of sexually reproductive grass variants has become possible, necessitating characterization of the floret appearance rate in the secured zoysia grass genetic resource before developing sexually reproductive cultivars. In this experiment, 549 grass lines were examined, revealing that florets appear in only 43 lines (7.81%). Survival rates after transplantation, and stolon generation rates display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ho = 0.44). Survival rates after transfer, and rates of stolon production displayed very low correlations with floret appearance (Rho = -0.11 and Rho = -0.06). No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43 lines that displayed >20% floret appearance. To breed sexually reproductive grass variants, it is thus necessary to secure more genetic resources, considering the low rate of floret appearance. Finding traits that predict floret appearance at an early stage is also required. 본 연구는 새로운 종자형 잔디 개발을 위한 유전자원의 분석을 통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조이시아그래스종 잔디는 주로 포복경이나 지하경을 통해 번식하며, 자연적으로 발아가 잘 되지 않아 종자형 육종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하지만 종피 처리 기술이 개발된 이후, 종자형 잔디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자형 잔디를 개발하기 위해 확보하고 있는 잔디 유전자원에서 꽃대 형성률을 확인할 필요성이 생겼으며, 이 실험에서 549개 라인을 확인해 본 결과, 43개 라인, 즉 7.83%의 라인에서만 꽃대가 출현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분석을 실시 해 본 결과, 이식 후 생존률과 포복경 생성률은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Rho = 0.44)를 보였고, 이러한 경향은 20% 이상 꽃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난 라인에서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경향(Rho = 0.55)을 보였다. 하지만 이식 후 생존률과 포복경 생성률은 꽃대 출현과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Rho = -0.11 and Rho = -0.06), 20% 이상의 꽃대 출현을 보인 43개 라인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자형 잔디 개발을 위해서는 이식 후 꽃대 출현률이 저조한 것을 감안, 더욱 많은 유전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꽃대 출현이 늦게 나타나는 것을 고려하여 이것과 상관관계가 초기 확인 가능한 특질을 찾아, 꽃대 출현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이 요구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26651461237
https://doi.org/10.7740/kjcs.2021.66.3.265
ISSN:0252-9777
2287-8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