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병성 자포니카 벼 계통 육성과 저항성 유전자 집적효과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resistant variety against the K3a race of bacterial blight,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through expansion and pyramiding of resistance genes. To develop an elite bacterial blight-resistant cultivar, the breeding process and bacterial blight resistance reac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 65; no. 4; pp. 314 - 326
Main Authors 김우재(Woo-Jae Kim), 백만기(Man-Kee Baek), 박현수(Hyeon-Su Park), 이건미(Geon-Mi Lee), 이창민(Chang-Min Lee), 김석만(Seok-Man Kim), 조영찬(Young-Chan Cho), 서정필(Jeong-Phil Seo), 정오영(O-Young 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30.12.2020
한국작물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resistant variety against the K3a race of bacterial blight,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through expansion and pyramiding of resistance genes. To develop an elite bacterial blight-resistant cultivar, the breeding process and bacterial blight resistance reactions in advanced backcross lines (ABLs) were analyzed. ABLs21 which contain Xa3 and Xa21, were developed by double backcrossing japonica cultivar Hwanggeumnuri, which has bacterial blight resistant Xa3 gene, and indica variety IRBB21, which havs Xa21 gene, followed by disease resistance bioassay and marker-assisted selection. The resistance genes of ABLs21 were amplified by PCR with the molecular markers 9643.T4 (Xa3) and U1/I1 (Xa21). Hwanggeumnuri and IRBB3 showed resistance reactions against K1, K2, and K3 races, and a susceptible reaction against K3a, K4, and K5 races. IRBB21 showed resistance reactions against K2, K3, K3a, K4 and K5 races, and a susceptible reaction against K1 race. Hwanggeumnuri showed susceptible reactions at the seedling, tillering and adult stages (all stages), whereas ABL21-1 showed moderate resistance at the tillering stage. ABL21-1 showed stable resistance against 18 isolates of K3a race, and the lesion length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donor parents. In cluster analysis, the HB4032 isolate showed the highest pathogenicity among the 18 isolates. The molecular marker polymorphisms and average substituted chromosome segment lengths of ABLs21 were 63.2 % and 86.1 cM, respectively. Insertion of the donor chromosomal segments occurred in the predicted region of the Xa21 gene of ABLs21. 본 연구는 유전자의 확대와 집적을 통해 벼 흰잎마름병균 K3a에 대응하는 저항성 계통을 육성하였고 육성계통에 대한 육종과정, 병 저항성반응을 분석하여 저항성 계통의 기초자료와 재배 효과를 제공하여 우수한 벼 흰잎마름병 저항성 품종 개발에 활용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벼 흰잎마름병 저항성 Xa3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중만생 자포니카 품종 황금누리를 반복친으로, Xa21 유전자를 가진 중만생 인디카 근동질유전자계통 IRBB21을 수여친으로 인공교배 후 3번 여교배하여 ABLs21을 얻었다. 생물검정과 분자표지검정을 활용하여 저항성 유전자 Xa3, Xa21이 집적을 확인하였다. ABLs21이 보유한 저항성 유전자는 분자표지 9643.T4 (Xa3), U1/I1 (Xa21)로 PCR 한 결과 모두 증폭되어 저항성 유전자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Ls21과 모부본의 벼 흰잎마름병 레이스에 대한 저항성 반응은 황금누리, IRBB3가 K1, K2, K3 레이스에 저항성 반응을 보였지만 K3a, K4, K5에는 감수성 반응을 나타냈다. IRBB21은 K1에 감수성 반응이었고 K2~K5에는 저항성 반응이었다. K3a 레이스 균주 접종 시 유묘단계에서 황금누리, IRBB21, ABL21-1, 분얼단계에서 황금누리, IRBB21, 성체단계에서 황금누리가 감수성 반응이었다. ABL21-1은 분얼단계에서 중도저항성을, 성체단계에서 저항성 반응을 나타냈다. K3a 레이스 18개 균주 접종 결과 ABL21-1은 각각의 수여친보다 병반길이와 표준편차가 작아 안정적인 저항성을 보여주었다. 18개 균주 각각의 반복간 병반길이의 유의차는 없어 균주의 병원성은 안정적이었으며 군집분석 결과 HB4032 균주의 병원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Ls21의 분자표지 다형성은 63.2%이며 평균 86.1 cM의 염색체단편이 이입되었다. ABLs21의 Xa21 유전자 부위로 추정되는 곳에 수여친의 염색체단편 이입이 일어났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34965719349
ISSN:0252-9777
2287-8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