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의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에 따른 아이돌 세대별 팬덤 문화의 변화

Given that the current Idol fandom has been enormously affected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uch as the Internet, mobile or social media, this study explored how generational fandom culture has been shifted depending on the fandom's use of differential online platforms and service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2) Vol. 22; no. 2; pp. 605 - 616
Main Authors 한미화(Mihwa Han), 나은경(Eunkyung N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2.22.02.60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Given that the current Idol fandom has been enormously affected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uch as the Internet, mobile or social media, this study explored how generational fandom culture has been shifted depending on the fandom's use of differential online platforms and services, i.e., online community vs. social network services.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3rd generation fandom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ntimacy, greater attachment/worship, greater similarity toward Idol stars as well as greater fandom loyalty and greater fandom identity than 1st and 2nd generation fandom. Similarly, compared to online community centered fandom, social network centered fandom showed greater intimacy, greater attachment/worship, greater similarity as well as greater fandom loyalty and identity than community-centered fandom. 본 연구는 아이돌 팬덤 현상에 대해, 팬덤의 시대별 특징 및 이용 매체의 속성에 따른 영향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3세대 아이돌 팬덤과 1,2세대 아이돌 팬덤의 문화 차이, 그리고 인터넷의 발전에 따른 팬덤의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의 차별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아이돌 팬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분석 결과, 3세대 아이돌 팬덤은 1,2세대 팬덤보다 아이돌에 대한 친밀감, 연애감정/숭배심리 및 동질감이 더 높았으며, 팬덤 충성도 및 팬덤 정체성도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주로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중심소통 팬덤이 온라인커뮤니티 중심소통 팬덤에 비해 친밀감, 연애감정/숭배심리 및 동질감이 더 높았고, 팬덤 충성도 및 팬덤 정체성 역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팬덤의 세대 변화 및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에 따른 아이돌 팬덤 문화의 변화의 함의에 대해 논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09834561537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2.22.02.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