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형 당뇨 동물모델에서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항당뇨 효과 비교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ffects of buckwheat. The diabetic animal mode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mice group (NOR),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group (STZ), group treated with seeds of common or tartary buckwheat (SCB or STB), and the group...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4; no. 1; pp. 17 - 27
Main Authors 김수정(Su Jeong Kim), 손황배(Hwang Bae Sohn), 최지명(Ji Myung Choi), 조은주(Eun Ju Cho), 남정환(Jung Hwan Nam), 이종남(Jong Nam Lee), 서종택(Jong Taek Suh), 장동칠(Dong Chil Chang), 김율호(Yul H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ffects of buckwheat. The diabetic animal mode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mice group (NOR),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group (STZ), group treated with seeds of common or tartary buckwheat (SCB or STB), and the group treated with whole plants of common or tartary buckwheat (PCB or PTB). Rutin content was 44-48 times higher in STB or PTB than in SCB. Oral glucose tolerance and insulin resistance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reatment with STB, PCB, and PTB. Treatment with PTB also decreased the serum glucose level significantly and the serum insulin levels slightly compared with the STZ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rut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are closely related to the antidiabetic effect of the treatment.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eeds of tartary buckwheat and whole plants of either common or tartary buckwheat have antidiabetic effects-attenuating blood glucose in an animal model of type II diabetes. 메밀은 전 세계적으로 곡식, 싹, 차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주요 재배종으로는 일반메밀과 쓴메밀이 있다. 본 연구는 일반메밀과 쓴메밀 종실과 전초를 대상으로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루틴 함량은 쓴메밀 추출물이 일반메밀 추출물보다 44-48배 이상 높았으며, 퀘세틴은 전초에서만 검출되었다.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함량도 쓴메밀 추출물이 일반메밀 추출물보다 2.5-4.8배 높았다. STZ 투여로 제2형 당뇨가 유발된 동물모델에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종실과 전초를 급여하여 공복혈당, 경구 내당능, 인슐린 내성 변화, 혈중 포도당 및 인슐린 농도 등을 통해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였다. 종실의 경우는 일반메밀에 비해 쓴메밀 종실군에서 경구 내당능 효과가 뛰어났으며, 혈청 포도당 농도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초의 경우, 일반메밀이나 쓴메밀 급여 실험군에서 모두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항당뇨 효과를 보였으며,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과 인슐린 민감성 지표인 QUICKI를 비교해본 결과에서도 종실과 전초 섭취군 모두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고려하면 루틴 함량 및 항산화활성이 쓴메밀 전초의 경우 항당뇨 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루틴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높은 쓴메밀 종실 및 일반메밀과 쓴메밀 전초는 항당뇨 식의약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10261438694
ISSN:0367-6293
2383-9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