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case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In order to do a meta-analysis, a total of 27 journals,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1998 and 2020 were reviewed systematicall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calculated averag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1) Vol. 21; no. 1; pp. 520 - 530
Main Author 박정임(Jung-Im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1.21.01.520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case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 In order to do a meta-analysis, a total of 27 journals,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1998 and 2020 were reviewed systematicall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calculated averag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and explored moderator variables. Th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a total of 14 individual, enviroment of institution, population variables related with case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ase management performance variables which showed large effect sizes included professional capability, supervision, network, case management significance recognition, manual, agency support. Third, variables with medium effect sizes included self-efficacy, case management education, autonomy, motivation, number of conference and variables with small effect sizes included work experience, academic ability, age. Fourth, Moderator effects were identified in the field, target, publication of case managemen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례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보다 통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사례관리수행과 관련된 개별연구들을 메타분석하였다. 메타분석방법은 국내에서 1998년부터 2020년도까지 사례관리수행과 관련된 연구들 중에서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27편을 중심으로 시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사례관리수행과 관련된 주요 변인들의 평균효과크기와 조절변수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전체적으로 보면, 총 14개의 변인으로 개인적 변인, 기관·조직환경 변인, 인구 사회학적 변인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관리수행과 높은 상관관계(평균효과크기)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전문적 능력, 수퍼비전, 네트워크, 사례관리중요성 인식, 매뉴얼지침, 기관지지 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례관리수행과 중간정도의 상관관계(평균효과크기)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자기효능감, 사례관리교육, 자율성, 동기, 사례회의 수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상관관계(평균효과크기)를 보이는 변인은 경력, 학력, 연령이었다. 본 연구에서 조절변수는 사례관리영역(민간 or 공공)별에서는 수퍼비전, 사례관리대상자(성인대상 or 아동대상)별에서는 전문적 능력, 사례관리교육, 출판여부(학위 or 학술)에서는 전문적 능력의 변인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례관리수행과 관련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03562804191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1.21.0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