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전도 센서를 연동한 둥근 어깨 개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제안

Recently, adolescents in Korea are exposed to the risk of postural imbalance due to overuse of smartphones and lack of physical activity due to the amount of learning. In addition, the need for effective non-face-to-face exercise services is increasing due to Corona 19.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5; no. 5; pp. 667 - 676
Main Authors 박소미(So-Mi Park), 계윤신(Yoonshin Kay), 임희수(Hee-Su Im), 박수이(Su-E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21.25.5.66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Recently, adolescents in Korea are exposed to the risk of postural imbalance due to overuse of smartphones and lack of physical activity due to the amount of learning. In addition, the need for effective non-face-to-face exercise services is increasing due to Corona 19.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proposes an exercise service using an EMG senso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services while providing the effect of improving round shoulders for adolescents. An exercise program that can improve round shoulders was constructed, and an application in conjunction with an EMG sensor was implemented to exercise effectively. The exercise program was configured to alternately exercise the target muscle area for 4 weeks, and the function to provide feedback was added by measuring the EMG values that change accordingly.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the basis for exercise-based posture correction digital service, and improve the unbalanced body through this, thereby promoting the possibility of health promotion. 최근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스마트폰 과사용, 많은 학습량에 따른 신체활동 부족 등으로 인하여 자세 불균형의 위험에 노출되어있다.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효과적인 비대면 운동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착안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둥근 어깨 개선의 효과를 제공하면서 비대면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근전도 센서를 활용한 운동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둥근 어깨를 개선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근전도 센서를 연동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4주 동안 타깃 근육 부위를 번갈아 가며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했고, 이에 따라 변화하는 근전도 수치를 측정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운동 기반의 자세 교정 디지털 서비스의 바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불균형한 신체를 개선함으로써 건강 증진의 가능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17457513184
http://jkiice.org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21.25.5.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