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한 국내 다소비 해조류 및 채소류의 비타민 E 및 K 분석
Vitamin E and K are essential micronutrients required by our body in small amounts for proper metabolic functions; however, the content of vitamin E and K commonly consumed in foods has not been comprehensively defined.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vitamins E and K in sea algae and vegetables were...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3; no. 1; pp. 19 - 2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과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67-6293 2383-9635 |
Cover
Summary: | Vitamin E and K are essential micronutrients required by our body in small amounts for proper metabolic functions; however, the content of vitamin E and K commonly consumed in foods has not been comprehensively defined.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vitamins E and K in sea algae and vegetables were analyzed and the analytical methods were validated. The α-tocopherol equivalent (α-TE) and vitamin K1 content in sea algae ranged from 0.15 to 1.14 mg/100 g and from 11.91 to 1,629.5 ㎍/100 g, respectively. In addition, α-TE and vitamin K1 of vegetables were detected in the range of 0.02-2.48 mg/100 g and 16.15-979.60 ㎍/100 g, respectively. In particular, β- and γ-tocopherol and α- and β-tocotrienol were detected in several vegetables. The analytical methods were accurate and reproducible. These results provide reliable data on the vitamin E and K contents of foods consumed in Korea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Database.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해조류와 채소류의 비타민 E와 K 함량을 분석하고, 사용된 분석법의 유효성과 분석품질관리를 통해 분석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해조류의 비타민 E는 α-tocopherol만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활성은 0.15-1.14 mg α-TE/100 g으로 해조류의 종류와 조리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해조류에서 비타민 E는 건조된 매생이(dried)가 1.14 mg α-TE/100 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K는 건조 미역이 1,629.50 ㎍/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채소류의 경우, 비타민 E 활성은 0.01-2.48 mg α-TE/100 g으로 나타났으며, 가열처리 방법에 따라 비타민 E 함량이 변화하였다. 채소류의 비타민 K1 함량은 16.15-979.60 ㎍/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비타민 K1 은 초록 잎을 가진 시료에서 주로 검출되었으며, 뿌리 채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비타민 E와 K의 분석법에 대한 검증은 정확성, 정밀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를 평가하였으며, 분석품질관리를 통하여 분석 기간 동안 모든 시료에 대한 분석이 신뢰성 있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된 해조류와 채소류의 비타민 E와 K 데이터는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11037332834 |
ISSN: | 0367-6293 2383-96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