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히트의 서사극과 연극치료

독서치료, 이야기(스토리텔링)치료, 시치료, 연극치료, 영화치료 등 다양한 문학치료가 개발되고 있다. 문학치료는 문학텍스트가 갖고 있는 보편적 치유능력에 기초하면서 장르의 특성 등에 따라 각각 특정한 방식으로 문학과 관련을 맺고 있다. 그 중 연극치료는 현대연극을 대표하는 스타니슬라브스키와 브레히트의 연극이론에 힘입고 있다. 감정이입을 통해 배우가 극 중 인물로 완전히 변신하는 스타니슬라브스키적 연기술이 ‘역할 입기’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면, 자신이 행하는 역할에 비판적이고 이성적인 태도를 요구하는 브레히트의 서사적 연기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외국문학연구 no. 65; pp. 423 - 442
Main Author 이승진(Lee Seung j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8.02.2017
Institute of Foreign Literature
외국문학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독서치료, 이야기(스토리텔링)치료, 시치료, 연극치료, 영화치료 등 다양한 문학치료가 개발되고 있다. 문학치료는 문학텍스트가 갖고 있는 보편적 치유능력에 기초하면서 장르의 특성 등에 따라 각각 특정한 방식으로 문학과 관련을 맺고 있다. 그 중 연극치료는 현대연극을 대표하는 스타니슬라브스키와 브레히트의 연극이론에 힘입고 있다. 감정이입을 통해 배우가 극 중 인물로 완전히 변신하는 스타니슬라브스키적 연기술이 ‘역할 입기’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면, 자신이 행하는 역할에 비판적이고 이성적인 태도를 요구하는 브레히트의 서사적 연기술은 ‘역할 벗기’의 이론적 토대로 기능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브레히트에 대한 관심은 주로 그의 서사극이 강조하고 있는 ‘거리두기’, ‘생소화(소외) 효과’에 집중되어 있다. 본 논문은 연극치료학에서 중시하는 ‘거리두기’, ‘감성을 배제하는 이성적 연기 또는 관극(觀劇)’ 이 어떠한 이론적 근거를 갖고 있으며, 또한 그의 극작품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를 밝힌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 및 <동의하는 자/동의하지 않는 자>, <조처>, <사천의 선인>, <코카서스의 백묵원> 등의 작품이 연극치료학적 관점에서 분석된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various art therapies, the fields of reading, story-telling, poetry, theater and movie therapies are establishing their own territories in the realm of literary therapy. Though based on the universal healing qualities of literary texts, these literary therapies, depending on the specific characters of each genre, bear their own particular relations to literature, and drama therapy among them draws upon the theater theories founded by Stannislavski and Brecht who represent the modern theater. While the Stannislavski theatrics, in which the actor transforms himself into his character through empathy,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for “putting on the role”, Brecht’s epic theatrics, in which critical and rational attitude is required of the actor toward his role,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for “taking off the role ” For this reason, most attention is focused on the’distancing’ and ‘alienation(verfremdung)’ effects that are strongly emphasized in Brecht’s epic theater. This paper attempts to throw a light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distancing’ and ‘the rational, not emotional, acting or viewing’, the two important elements in theater therapy, and explain how they are implemented in drama work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727.2017..65.002
ISSN:1226-444X
2671-8308
DOI:10.22344/fls.2017.65.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