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알루론산 용액을 취반수로 이용한 현미밥의 질감 및 항산화 특성

Rice (brown rice: milled rice=50:50) was cooked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yaluronic acid (HA) solution (0.1, 0.3, 0.5, and 0.7%, respectively) as the cooking water, and the properties of the cooked rice were compared. As the HA content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oked rice sign...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4; no. 1; pp. 8 - 16
Main Authors 문태휘(Tae-Hwi Moon), 신장호(Jang-Ho Shin), 한정아(Jung-Ah H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Rice (brown rice: milled rice=50:50) was cooked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yaluronic acid (HA) solution (0.1, 0.3, 0.5, and 0.7%, respectively) as the cooking water, and the properties of the cooked rice were compared. As the HA content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oked ric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textural properties, including hardness,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except springiness, significantly decreased. For color, as the HA amount increased, the L* value decreased, whereas the b* values increase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HA increased. In the sensory test, the hardness of the samples containing H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accepta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much softer cooked brown rice could be produced using HA solution (up to 0.7%) as the cooking water, and additional beneficial characteristics, such as antioxidant effect, can be obtained. 히알루론산 첨가가 현미밥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히알루론산의 농도를 달리한 용액(0-0.7%)을 취반수로하여 현미밥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현미밥의 수분함량은 48.30-53.04%의 범위로 히알루론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p<0.05), pH는 6.73-6.74의 범위로 대조군과 시료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색도의 경우, 명도는 히알루론산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고(p<0.05), 적색도는 대조군과 시료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그러나 황색도는 히알루론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현미밥의 유리라디칼 소거능은 대조군이 21.63%로 가장 낮았으며, 히알루론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HA_0.7에서는 59.59%로 가장 높았으며(p<0.05), 총 폴리페놀 함량은 히알루론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HA_0.7에서 17.06 mg GAE/100 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현미밥의 경도는 히알루론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서는 287,149 N/m2로 가장 높았으며, HA_0.7에서는 164,359 N/m2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점착성, 씹힘성 및 응집성은 히알루론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탄력성은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저장 시 경도 변화는 히알루론산을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A_0.5와 HA_0.7은 저장 기간 별로 경도의 증가 폭이 대조군에 비하여 작았다(p<0.05).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 향, 맛, 식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군과 시료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경도에서는 히알루론산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선호도를 보이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로 히알루론산의 첨가가 현미밥의 항산화 특성을 향상시키며, 물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노화 시간을 늦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령자의 기호도를 높이며 부드러운 질감을 얻기 위해 첨가수준은 HA_0.7까지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10261445695
ISSN:0367-6293
2383-9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