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을 이용한 음악흥행 예측모델 개발 연구

Among various contents industry,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music industry and tried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for music box office using deep learning. The deep learning prediction model designed to predict music chart-in period based on 17 variables -singer power, singer influence, featu...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8) Vol. 20; no. 8; pp. 10 - 18
Main Authors 이도연(Do-Yeon Lee), 장병희(Byeng-Hee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8.010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Among various contents industry,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music industry and tried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for music box office using deep learning. The deep learning prediction model designed to predict music chart-in period based on 17 variables -singer power, singer influence, featuring singer power, featuring singer influence, number of participating singers, gender of participating singers, lyric writer power, composer power, arranger power, production agency power, distributing agency power, title track, LIKEs on streaming platform, comments on streaming platform, pre-promotion article, teaser-video view, first-week performance. Additionally we conducte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sort out factors, and tried to compare the prediction performance between the original DNN prediction model and the DNN model made of sorted out factors.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산업 중 음악 분야 2차 산업데이터를 활용하여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흥행 예측모델 구축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한 딥러닝 예측 모델은 17개 독립변인 -가수 파워, 가수 영향력, 피처링 가수 파워, 피처링 가수 영향력, 참여 가수 수, 참여 가수의 성별, 작사가 역량, 작곡가 역량, 편곡가 역량, 제작사 역량, 유통사 역량, 앨범의 타이틀 여부,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좋아요 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코멘트 수, 사전 홍보 기사 수, 티저 영상 조회 수, 초기 흥행성과를 기반으로 음원 흥행성과 -음원이 차트내 상주하는 기간을 예측하는 구조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가 딥러닝 기법을 콘텐츠 분야에 접목시킨 초기단계 연구임을 고려하여, 콘텐츠 흥행예측 선행연구에서 요인 추출을 위해 활용하는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변인 소거 후 구축한 DNN 예측모델과 예측률 비교를 진행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2546501711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8.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