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크리에이터 직업 선택 의향: Z세대 직업 가치관을 중심으로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predictors of Youtube creator's Willingness to work as a profession. This work is notable, given its prevalence in preference as an occup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present work, a survey study was utilized...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3) Vol. 21; no. 3; pp. 752 - 760
Main Authors 조주연(Ju-Yeon Cho), 장성호(Seong-Ho J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1.21.03.75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predictors of Youtube creator's Willingness to work as a profession. This work is notable, given its prevalence in preference as an occup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present work, a survey study was utilized and respondents' perception of job values, interest, self-esteem as well as willingness to work were measured. The results from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realistic type (-), artistic type (+), corporate type (+) job value and job interest were significantly predictive of willingness to work.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including the need to establish career support services for YouTube creators as a profession and further for differentiated approaches based on job values or individual tendencies. The result from the current work is important, in that this study identified the willingness and influential factors of YouTube creators from a professional perspective, reflecting the recent growing interest in YouTube creators.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직업으로서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종사 의향의 예측 요인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Z세대(20세~24세)의 직업 가치관, 관심과 인식, 자아존중감, 종사 의향 등을 조사하였다.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재형(-), 예술형(+), 기업형(+)의 직업 가치관이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고, 유튜브에 관한 관심도 역시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실재형의 직업적 성격을 가진 사람들일수록 유튜브 크리에이터 종사 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술형, 기업형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종사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유튜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종사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직업으로서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대한 진로 지원 서비스 구축의 필요성, 직업 가치관이나 개인의 성향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의 필요성 등의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대한 관심도를 반영하여 직업적 관점에서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대한 종사 의향, 그리고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12054772678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1.21.03.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