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재가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applied effects of an orient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the physical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Yangseng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2) Vol. 20; no. 2; pp. 394 - 40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applied effects of an orient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the physical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Yangseng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participants were total 79 elderly (experimental: n=39, control: n=40) who aged 65 or over with normal cognitive status and available communication in D community, Seoul, South Korea. They were recruited by convenient sampling, and assigned randomly. The orient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composed Pal-Dan-Gum as Qi-gong therapy and Kyunglak exercise. This program consisted of 20 sessions total for 10 weeks. Measures were CMI(Cornell Medical Index), Instrumental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DS(Geriatric Depression Scale), geriatric life satisfaction scale, and Yangseng scale.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21.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s of physical health status (t=10.295, p<.001), ADL (t=7.571, p<.001), depression (t=-15.434, p<.001), life satisfaction (t=21.257, p<.001), and Yangseng (t=9.527, p<.001)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 Orient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physical health status, ADL,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Yangseang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This intervention program can be implied for health promotion of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재가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신체 건강 상태, 일상 생활 활동 (ADL), 우울증, 삶의 만족도 및 양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 일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정상적인 인지 상태와 의사소통이 가능한 노인으로 총 79 명의 노인이 (실험군 : n=39, 대조군 : n=40)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는 편의표출통해 모집되었고 무작위 할당법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선정되었다.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은 경락체조와 기공요법의 하나인 팔단금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주 동안 총 20회기로 구성되었다. 측정 변수로는 신체 건강 상태, 일상 생활 활동 (ADL), 우울증, 삶의 만족도, 양생이었고, SPSS WIN21.0에 의해 기술 통계, x2-test 및 독립 t-test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 하였다. 결과 : 실험군의 신체 건강 상태(t=10.295, p<.001), ADL(t=7.571, p<.001), 우울증 (t=-15.434, p<.001), 삶의 만족도(t=21.257, p<.001), 그리고 양생(t=9.527,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중재의 결과 모든 변수에서 점수가 향상됨을 보였다. 결론 : 본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신체 건강 상태, ADL, 우울증, 삶의 만족도 및 양생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이 중재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에서 노인의 건강 증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007658765474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0.20.02.3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