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자를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omija berries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during the fermentation. The changes in pH, total acidity and contents of ethanol, amino acid, total soluble solids, reducing sug...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47; no. 3; pp. 328 - 335
Main Authors 송영란(Young-Ran Song), 임병욱(Byeong-Uk Lim), 송근섭(Geun-Seoup Song), 백상호(Sang-Ho Bai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omija berries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during the fermentation. The changes in pH, total acidity and contents of ethanol, amino acid, total soluble solids, reducing sugar, and total sugar after the completion of fermentation were determin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omija-supplemented makgeolli showed significantly lower pH (3.46), lower contents of alcohol (17.2%), amino acids (1.85 g/L), and total sugar (17.5 g/L), and higher acidity (12.8 g/L). Moreover, supplementation with omija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capacity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nd higher level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Sensory evaluation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verall acceptance, although better appearance and refreshing taste of omija-supplemented makgeolli were observed. Our results indicate that omija represents an effective natural additive for enhancing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makgeolli. 새로운 고부가가가치 기능성 막걸리를 개발하기 위해 오미자를 첨가한 막걸리를 제조하여 그 품질특성 및 항산화능을 살펴보았다. 오미자를 2단 담금 익일에 첨가하여 발효시킨 막걸리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pH와 높은 총산 함량을 보였으나, 가용성 고형분 및 잔당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에탄올 함량은 2단 담금 동안 꾸준히 증가하였고, 최종적으로 오미자 처리구에서 17.2% 수준을 보였으나 대조구의 18.6%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생리활성 분석 결과, 오미자를 첨가한 막걸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08-5.96 mg GAE/mL와 $237.2-506.8{\mu}g\;CE/mL$ 수준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4가지의 다른 항산화능 평가에서도 대체로 모든 오미자 처리구의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특히 DPPH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최종 관능검사 결과, 오미자 처리구는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외관과 청량감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막걸리 및 기타식품에서 오미자의 기능성 소재로서 가능성을 보여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24848648322
G704-000138.2015.47.3.011
ISSN:0367-6293
2383-9635
DOI:10.9721/KJFST.2015.47.3.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