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욤잎, 감잎 및 뽕잎 복합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nti-atopic effects of mixed extracts from date plum, persimmon, and mulberry leaves (DPME) on atopic dermatitis (AD)-like skin lesions in hairless mice. The in vivo results demonstrated that DPME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dermatitis clinical score and ep...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5; no. 4; pp. 501 - 509
Main Authors 조병옥(Byoung Ok Cho), 윤홍화(Hong Hua Yin), 신재영(Jae Young Shin), 방숭주(Chong Zhou Fang), 체 데니스 창(Chong Zhou Fang), 장선일(Seon Il J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nti-atopic effects of mixed extracts from date plum, persimmon, and mulberry leaves (DPME) on atopic dermatitis (AD)-like skin lesions in hairless mice. The in vivo results demonstrated that DPME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dermatitis clinical score and epidermal thickness in AD-like skin lesions. Histological analyses showed that DPME treatment strongly inhibited dermal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activity of mast cells in AD-like skin lesions. DPME treatment inhibited production of serum IgE and interluekin (IL)-4 in hairless mice with AD. Moreover, DPME treatment significantly suppressed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L-6 cytokines i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lus calcium ionophore A23187-stimulated HMC-1 human mast cells. In addition, DPME treatment reduc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nitric oxide, prostaglandin E2, $TNF-{\alpha}$, and IL-6)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nti-atop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PME may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suggesting that DPME may be used as an anti-atopic dermatitis material and natural anti-inflammatory ingredient. 본 연구는 고욤잎, 감잎 및 뽕잎을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고욤잎, 감잎 및 뽕잎 복합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AD) 증상을 억제하는지 효과를 밝히고, 항염 효능을 나타내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육안 평가를 통해 피부의 건조 상태, 스케일링, 미란, 찰과상 및 홍반 같은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AD 모델에서 증가하였지만, 고욤잎, 감잎 및 뽕잎 각각의 추출물과 복합추출물을 투여하였을 경우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복합추출물이 고욤잎, 감잎 및 뽕잎 각각의 추출물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 두께와 염증세포 및 비만세포의 침윤은 AD 모델에서 크게 증가하였지만, 고욤잎, 감잎 및 뽕잎 단독추출물과 복합추출물을 투여하였을 경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복합추출물이 단독추출물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청중의 IgE와 IL-4의 수치를 측정한 결과 AD 모델에서 많이 증가하였으나, 고욤잎, 감잎 및 뽕잎 단독추출물과 복합추출물을 투여하였을 경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복합추출물이 단독추출물보다 더 뛰어나게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HMC-1 세포에 복합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와 IL-6의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RAW 264.7 세포에 복합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염증 매개 인자인 $TNF-{\alpha}$, IL-6, $PGE_2$ 및 NO 생성량이 감소하였고, 이러한 염증 매개 인자 억제 효능은 복합추출물이 단독추출물보다 더 뛰어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고욤잎, 감잎 및 뽕잎을 혼합한 복합추출물을 사용할 때 효능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고,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 및 염증관련 질환 치료를 위한 기능성 천연물 소재 및 제품 개발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614137728505
G704-000433.2016.45.4.013
ISSN:1226-3311
2288-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