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처리방법에 따른 맥문동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성과 관능 특성
The results of examining total soluble solid, reducing sugar, antioxidant and sensory properties regarding LTD (Liriope Tuber Dried), LTSD (Liriope Tuber Steamed and Dried), LTASD (Liriope Tuber Alcohol-Steamed and Dried), LTDR (LTD Roasted), LTSDR (LTSD Roasted) and LTASDR (LTASD Roasted) are as fo...
Saved in:
Published in |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Vol. 23; no. 5; pp. 645 - 65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6781 2288-8802 |
Cover
Summary: | The results of examining total soluble solid, reducing sugar, antioxidant and sensory properties regarding LTD (Liriope Tuber Dried), LTSD (Liriope Tuber Steamed and Dried), LTASD (Liriope Tuber Alcohol-Steamed and Dried), LTDR (LTD Roasted), LTSDR (LTSD Roasted) and LTASDR (LTASD Roasted) are as follows : Total soluble solid content of the roasted samples (LTDR, LTSDR and LTASDR) was more than those of all dried samples (LTD, LTSD and LTASD). According to roasting conditions,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a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raw and dried sample (LTD) in all heat-treated samples. The browning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roasted samples. In particular, LTASDR had a high browning index. Further,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roasted LT samples were higher than that of all dried LT samples. In particular, the LTASDR sample showed significantly high figures in DPPH scavenging activity, ABTS scavenging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Sensory properties showed an increased acceptance in all evaluation items among roasted samples. In this study, hot water extracts of steamed or alcohol-steamed roasted LT samples had a higher antioxidative effect than that of LTD or LTDR and attained positive results by getting high scores in the overall sensory evaluation. Therefore, when using Liriope tuber in making beverages or herbal recipes, it is appropriate to dry and roast before steaming or spreading with alcohol when treating LT. 생(生), 증(蒸), 주증(酒蒸) 건조 맥문동(LTD, LTSD, LTASD)과 생(生), 증(蒸), 주증(酒蒸) 건조 볶음 맥문동 시료(LTDR, LTSDR, LTASDR)의 가용성 고형물, 전당, 환원당과 항산화 효과,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건조 후 볶음 처리한 시료(LTDR, LTSDR, LTASDR)가 모든 건조 맥문동 시료(LTD, LTSD, LTASD)보다 많았다. 전당과 환원당은 볶음 유무에 따라서 모든 열처리한 시료가 생건조 시료(LTD)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함량이 많았으며, 환원당은 특히 주증건조 볶음 시료(LTASDR)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온도에서 환원당의 함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열분해로 인한 저분자량의 올리고당이나 덱스트린 등의 환원당 생성량이 소모되는 양보다 현저히 많기 때문이다. 갈변도는 볶음 처리를 함에 따라 모든 볶음 맥문동 시료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주증 건조볶음(LTASDR)의 갈변도가 높았는데, 주증(酒蒸)할 때에 이용된 청주에 함유되어 있는 당이 맥문동에 흡수되었고, 이에 따라 갈변도가 높아졌을 뿐 아니라, 항산화와 관련된 갈색 반응이 더 활발하게 일어나고, Maillard 반응의 중간생성물이 증가되어 여러 가지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도 모든 건조 맥문동에 비하여 볶음 맥문동 시료의 항산화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특히 주증 건조 볶음 시료(LTASDR)가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XOase 저해활성에 있어서 월등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주증건조 볶음 시료(LTASDR)가 생건조 맥문동(LTD)의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항산화 효과가 대체적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된 결과는 술로 찌고, 볶는 과정 중에 갈변물질이 더 많이 생성되었고, 수용성 성분 추출이 용이하도록 조직이 변화된 결과로 사료된다. 색(color), 향미(flavor), 단맛(sweetness), 구수한 맛(tasty flavor),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는 전체적으로 볶음 처리를 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로 기호도가 향상되었으며, 볶음 처리한 시료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찌거나 주증 처리하여 볶은 맥문동 시료의 열수 추출물이 생건조 맥문동(LTD)이나 생건조 볶음 맥문동(LTDR)에 비해 항산화성이 높게 측정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전체적인 관능평가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받음으로써 기능성이나 맛에 있어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그러므로 맥문동을 음료나 약선 등에 활용할 때에 맥문동의 전처리는 건조만하여 추출하기 보다는 찌거나 술을 도포하여 찐 다음 건조하여 볶는 방법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336448941614 G704-001333.2013.23.5.013 |
ISSN: | 1225-6781 2288-8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