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대감 및 언어적 공격행동수준에 따른 네 집단 간의 비합리적 신념, 분노사고 및 삶의 만족도의 차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aggress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differences of irrational belief, primary secondary anger thought, and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four groups classified based on the levels of hostility and verbal aggression. 268 middle sch...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5(2) Vol. 15; no. 2; pp. 281 - 29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5.15.02.281 |
Cover
Summary: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aggress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differences of irrational belief, primary secondary anger thought, and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four groups classified based on the levels of hostility and verbal aggression. 268 middle school boys in Chungnam areas served as sub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hostility showed the most nega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lif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hostility negatively predicted satisfaction with life, whereas verbal aggression positively predicted satisfaction with life. Factors of irrational belief, primary/secondary anger though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with life. Analyses of variances revealed that covert hostility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self-depreciation, disregard and disappointment in intimate relationship situation, hopelessness, whereas overt hostility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derogation of others/revenge. In addition, covert hostility group showed lower scores on satisfaction with life than other group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격성 요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적대감과 언어적 공격행동의 수준에 따른 네 집단 간에, 특히 내현적, 외현적 적대감 집단 간에 비합리적 신념, 자동적 사고인 일차적 및 이차적 분노사고,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충남지역 남자 중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 요인 중 적대감이 삶의 만족도와 가장 큰 부적 상관을 보였고, 적대감을 통제한 후에는 언어적 공격행동이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적대감은 삶의 만족도를 부적으로, 언어적 공격행동은 정적으로 예언하였다. 둘째, 비합리적 신념, 일차적 분노사고, 이차적 분노사고의 요인들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내현적 적대감 집단은 외현적 적대감 집단에 비해 자기비하, 친밀한 관계에서 경험하는 무시와 실망감, 무력감 요인의 점수가 높은 반면, 외현적 적대감 집단은 내현적 적대감 집단보다 타인비난/보복 요인의 점수가 높았다. 삶의 만족도는 내현적 적대감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낮았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적응을 돕기 위한 치료적 개입에 대한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508556261858 G704-001475.2015.15.2.027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5.15.02.2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