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고무호스에서의 유해화학물질 용출

Polyvinyl chloride (PVC) hoses, polyethylene hose and silicone hose for tap water were tested with respect to migration of phenolic compounds to water. The highest concentrations (0.36~1.97 mg/L)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observed in the test water from PVC hoses. Increasing residual Cl conc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32; no. 9; pp. 900 - 904
Main Authors 배석문(Seok Mun Bae), 손희종(Hee Jong Son), 정현철(Hyun Chul Jeong), 최진택(Jin Taek Choi), 빈재훈(Jae Hoon B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환경공학회 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025
2383-7810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Polyvinyl chloride (PVC) hoses, polyethylene hose and silicone hose for tap water were tested with respect to migration of phenolic compounds to water. The highest concentrations (0.36~1.97 mg/L)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observed in the test water from PVC hoses. Increasing residual Cl concentration from 0 to 0.5 mg/L or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from 4 to $25^{\circ}C$ increased 3~3.2 times and 100~104 times for migrated total phenolic compounds concentrations, in respectively. A major migrating phenolic compounds from PVC hoses were bisphenol-a (BPA)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concentration of migrating phenolic compounds in the order: DEHP > 2-chlorophenol > 2,4,6-trichlorophenol > 2,4-dichlorophenol from PVC hoses.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재질의 가정용 고무호스들(PVC 재질 4종, PE 재질 1종 및 SC 재질 1종)에서의 유해화학물질 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무호스 재질별 페놀류 용출 실험결과, PVC 재질의 고무호스들 4종에서 체류시간 96시간 동안 0.36~1.97 mg/L의 페놀류가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PVC 재질의 고스 호스들에서 가장 많이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 재질의 경우 PVC 재질에 비해 매우 낮은 용출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실리콘 재질에서는 용출이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체류시간별 총 페놀의 용출 농도변화는 체류시간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기 잔류염소 농도에 따른 총 페놀의 용출 특성 비교에서는 초기 잔류염소가 0.5 mg/L로 존재할 경우가 잔류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3~3.2배 정도 높게 용출되었으며, 수온에 따른 총 페놀의 용출 특성 비교에서는 수온 $4^{\circ}C$에 비해 $25^{\circ}C$일 경우가 100~104배 정도 높은 용출 농도를 나타내었다. 페놀류 각각에 대한 용출농도를 조사한 결과에서 BPA의 용출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DEHP와 2-chlorophenol, 2,4,6-trichlorophenol, 2,4-dichlorophenol 순으로 나타났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018752859683
G704-000098.2010.32.9.001
ISSN:1225-5025
2383-7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