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제주방법인 급청주법으로 제조한 가바쌀막걸리의 품질 특성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made from GABA rice, which has a high content of GABA (gamma-aminobutyric acid). GABA rice is a brown rice that is not easily fermented by general makgeolli manufacturing me...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4; no. 4; pp. 573 - 57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Summary: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made from GABA rice, which has a high content of GABA (gamma-aminobutyric acid). GABA rice is a brown rice that is not easily fermented by general makgeolli manufacturing methods. Thus, the Geupchungju method, which is a Korean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for makgeolli using a fermentation starter and additional malt, was considered for making makgeolli from GABA rice. We confirmed that Geupchungju method showed a high saccharification and stable alcohol fermentation ability in the early stages of fermentation. However, malt addition more than 2% resulted in a lower scor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final product. It was also confirmed that GABA content of GABA makgeolli was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makgeolli by 2.3-fold. Our resul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ward improving quality of brown rice makgeolli. 쌀겨층이 많아 우수한 막걸리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가바쌀의 가공적성을 개선하기 위해 막걸리 starter를 이용하는 전통 제주방법인 급청주법을 이용하여 막걸리를 제조하고 품질 특성과 기호도 등을 조사하였다. 발효 중 전체 중량의 변화와 산도, pH, 알코올, 환원당 함량 변화 등을 조사한 결과, 엿기름을 첨가한 급청주법이 초기 당질 이용성을 높여 발효를 안정적으로 진행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급청주법의 엿기름 최적 첨가량은 2%로 나타났으며 이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최종제품의 기호도나 관능평가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미를 위한 첨가물로는 아스파탐이 가바쌀막걸리에 청량감을 부여하여 조미에 적합하였으며 가바쌀로 만들어진 막걸리의 GABA 함량이 시판 일반 막걸리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엿기름을 첨가하여 급청주법으로 제조 시 가바쌀의 GABA 기능성이 안정적으로 확보된 막걸리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쌀겨층이 많은 일반 현미를 이용한 막걸리 개발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525040968215 G704-000433.2015.44.4.016 |
ISSN: | 1226-3311 2288-5978 |